경제·금융

[韓中日 바둑영웅전] 잘게 쪼개는 바둑

제2보(19~30)


흑23까지는 이렇게 되는 자리였고 백24부터 이창호가 두었던 수순과 달라졌다. 이창호는 즉시 가에 엄습하여 하변의 흑대마를 위협했는데 조한승은 실전보의 백24로 뛰어들었다. “조한승은 상대방이 대모양작전으로 나오는 것을 싫어하는 편입니다. 국면을 잘게 쪼개서 계가바둑으로 만드는 것을 선호하지요.”(안달훈6단) 흑25는 근거를 박탈하는 수법으로 이 장면에서는 유일한 공격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다음 백의 행마가 어렵다. 29의 자리에 막는 것은 벌릴 자리가 마땅치 않아 거북하고 참고도1의 백1로 가볍게 날아오르려 해도 흑이 2에서 6까지로 도발을 하면 백이 수습하는 데 애를 먹어야 한다. 물론 A나 B로 기대어 어떤 식으로든 수습은 되겠지만 흑의 집을 크게 굳혀줄 공산이 크다. 안전하게 두자면 참고도2의 백1로 어깨를 짚는 수인데 그것이면 흑은 2에서 6까지 왼쪽에 큰 모양을 만들 것이다. 이것 역시 백이 별로 내키지 않는 진행이다. 조한승은 백26을 선택했다. 흑27은 ‘수비가 최선의 공격’이라는 기훈을 따른 수였지만 다소 느슨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일단 나에 두어 백 다면 28의 자리에 막아 집을 최대한 벌면서 백을 무겁게 만들고 싶다는 것이 안달훈6단의 의견이었다. 백28과 30은 수습의 행마. 특히 백30은 깊은 노림을 간직한 수였다. 백30의 주문은 무엇일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