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英·佛 "北규탄 먼저"에 中 北감싸기 일관…안보리 결론 못내

[軍 연평도 사격 훈련] 러 요구로 안보리 긴급소집<br>러, 한반도 영향력 확대 의도 중재 명분 '외교쇼' 나선듯<br>'11·23 포격 규탄' 수정안에 15개국중 中만 반대 입장

한반도 긴장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긴급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열렸지만 북한 감싸기로 일관한 중국의 거부로 아무런 결론을 도출하지 못한 채 끝이 났다. 러시아의 요구로 소집된 안보리는 19일 오전11시(현지시간)부터 오후7시30분까지 8시간30분 동안 마라톤 회의를 열고 고조되는 한반도 문제를 논의했다. 이달의 순회 안보리 의장인 수전 라이스 미국 대사는 회의가 끝난 후 브리핑을 통해 "한반도 위기에 대한 안보리 내의 이견이 매우 심각하다"며 "앞으로도 접점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러시아는 당초 북한의 연평도 포격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고 남북 양측에 "최대한의 자제"를 촉구하고 위기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남북에 특사를 파견하도록 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초안을 제출했다. 러시아가 갑작스럽게 회의를 제안한 데 대해 일각에서는 결렬될 것이 뻔한 상황에서 러시아가 평화중재자를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명문을 삼아 한반도 영향력 확대를 꾀하기 위한 일종의 '외교쇼'라는 비난도 제기됐다. 유엔 안보리가 사전 조율 없이 회의 하루 만에 결론을 내기란 처음부터 무리수였을 뿐만 아니라 자국 영토에서 일상적인 방어용 포격 훈련을 중지하라는 무리한 요구를 서방진영이 수용할 턱이 없었기 때문이다. 미국ㆍ영국ㆍ프랑스 등 서방국가들은 러시안 초안에 대해 성명에 한반도 긴장고조의 원인인 북한의 연평도 공격을 규탄하는 문구를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을 개진했고 영국은 '11월23일 북한의 한국에 대한 공격을 규탄한다'는 내용의 수정안을 마련했다. 라이스 대사는 "다수의 이사국들이 북한의 천안함 침몰 및 연평도 포격을 강하게 규탄했다"면서 "북한의 공격들은 '정당한 이유가 없는 침략행위(unprovoked aggression)'"라고 비난했다. 러시아는 이 같은 서방국가들의 입장을 반영해 영국 안에서 '북한'과 '연평도'를 뺀 '11월23일 포격을 규탄한다'는 수정안 제시하고 막판 회람했지만 중국이 이를 거부했다. 해외언론들은 이와 관련, 중국을 제외한 안보리 14개국이 합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홀로 반대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신화통신은 왕민(王民) 유엔 상주 부대표가 안보리 회의에 참석 "중국은 사태를 악화시키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해칠 가능성이 있는 어떠한 행위에도 결연히 반대한다"며 한국의 포사격 훈련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이 같은 중국의 입장에 대해 중국 스스로 북한의 행동에 대해 갈수록 좌절감을 느끼고 있지만 중국마저 비난대열에 동참할 경우 그들의 관계를 되돌릴 수 없게 된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고 서방외교관들의 전했다. 한편 한국과 북한대표는 이날 오후6시께 당사국 자격으로 비공개 회의에 초대됐고 각자 입장을 개진했다. 이 자리에서 신선호 북한 대사는 "서해 5도는 명백히 북한 영토이며 북방한계선(NLL)은 일방적으로 그어진 것"이라면서 우리 영해에 포탄이 날아오는데 어떻게 자위권을 행사하지 않을 수 있느냐고 반문하고 "한국이 포사격 훈련을 강행할 경우 몇 배의보복을 감행할 것"이라고 종래의 입장을 되풀이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