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유통업체 '비정규직 대책' 급물살

"무리수 안둔다" 가능한 정규직으로 전환 방침<br>다른 직군 만들어 급여 달리 적용 비용 줄일듯<br>이랜드 "뉴코아 비정규직 대책은 안 바꿀것"


이랜드가 오는 7월 비정규직 보호법안 시행을 앞두고 뜨거운 감자였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유통업체 중 처음으로 공식화함에 따라 롯데ㆍ신세계 등 대형 유통업체의 비정규직 대책이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하지만 유통업체마다 노조 존재 여부, 비정규직 규모, 경영 효율성 등 처한 상황이 달라 최적화된 해법을 도출하기까지 막바지 진통이 예상된다. ◇이랜드, ‘양날의 칼’ 사용=이랜드가 홈에버 2,500명의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전격 결정했다. 이는 최근 350명의 비정규직 계산원을 해고하고 용역직원으로 전환해 노조가 전면 파업에 나서는 등 사회적으로 물의를 빚고 있는 뉴코아와는 180도 다른 상황이다. 이랜드의 한 관계자는 “뉴코아 노조와 외국계 기업이었던 홈에버 노조의 성격이 다르고 비정규직 규모에도 차이가 있어 이에 맞춰 비정규직 대책을 추진하는 것일 뿐”이라며 “홈에버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으로 뉴코아의 기존 방침이 바뀌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이랜드가 내놓은 홈에버의 비정규직 대책의 핵심은 직무급제 정직원 제도를 처음으로 도입,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흡수하겠다는 것. 직무급제는 파트타이머 2년 이상 근무자 가운데 희망자를 정규직원으로 전환하는 제도로 직무군 운영기준과 급여 테이블만 약간 다를 뿐 고용보장ㆍ근로조건ㆍ진급기준ㆍ복리후생 등은 정직원과 같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홈에버는 이달 중 점장이나 팀장, 인사고과에 따라 우선 수백명의 비정규직을 추천, 선발해 7월 중 교육을 시키는 등 2,500명을 순차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유통업체 비정규직 2만명, 정규직 되나=이랜드의 전격적인 정규직 전환과 관련, 대다수 유통업체들도 법을 어기면서까지 무리수를 두지 않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즉 가능한 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따르겠다는 것. 하지만 비정규직이 대부분 단순 계산원인데다 아르바이트생이어서 기존 정직원과 처우를 똑같이 해주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정규직으로 전환하되 이랜드처럼 대졸 위주의 정직원과는 다른 직군을 만들어 급여 수준을 달리 적용, 비용 부담을 덜겠다는 게 유통업체의 공통된 생각이다. 하지만 정년보장 등 고용보장을 비롯해 경조사비, 보험가입 등 복리후생, 40시간 근로조건 등의 카드를 꺼내 불만의 목소리를 잠재울 것으로 보인다. 비정규직 5,600명이 있는 롯데마트는 “비정규직에 대한 계약 해지 및 용역 전환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며 “7월부터 비정규직에 대해서도 주5일 근무제를 도입하고 하계휴가도 5일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1,200명이 비정규직으로 있는 롯데백화점도 현재 노조와 비정규직 대책을 논의하고 있으며 긍정적인 방향으로 협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홈플러스는 6,000여명의 비정규직의 고용안정을 위해 내부적인 근속기간과 근무평가로 무기계약 신분을 우선 부여하고 경조사 지원, 휴양소 지원, 장기근속 포상 등 기본적인 복리제도를 정규직과 동일한 수준으로 맞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마트 4,000명, 백화점 1,000명 등 총 5,000명의 비정규직을 둔 신세계는 법의 테두리 안에서 여러 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기존 정규직원들과 임금체계를 차별화하는 직무급제를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