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우車 파업 오늘이 고비

대우車 파업 오늘이 고비 민노총 개입·타공장 동조여부 등 정리해고에 항의하는 대우자동차 부평공장 노조원들의 총파업이 격렬해지고 장기화할 조심을 보이고 있다. 18일 경찰은 30여명의 노조간부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농성자를 연행하는 등 공권력이 본격 개입하고 있고 민주노총은 19일 파업지원에 나서기로 해 대우사태는 '정리해고'에서 '파업'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우사태는 아직 파업에 동참하지 않고 있는 창원ㆍ군산공장 지부의 동조파업 여부가 결정되고 민주노총이 파업지원책을 내놓는 19일 큰 고비를 맞을 전망이다. ◇파업의 장기화 가능성 노조는 18일 농성 이틀째를 맞아 400여명의 노조원을 동원, 공장시설을 점거하고 장기농성 준비에 들어갔다. 회사측은 경찰에 시설보호를 요청하고 300명의 저지조를 편성해 시너 등 인화성 물질이 다량 비축된 도장공장과 연구소ㆍ전산실 등 핵심시설만 지키도록 하고 대부분의 사무직 직원을 철수시켰다. 이날 농성장에 합류하려던 노조원의 출입을 봉쇄하는 과정에서 노조와 경찰 사이에 첫 충돌이 발생, 사태가 악화되고 있다. 경찰은 가족ㆍ사회단체 등 외부인의 농성합류를 차단하는 데 중점을 두고 공장 내 경찰력 투입시기는 사태의 추이를 봐가며 결정하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민주노총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본격적인 춘투(春鬪)에 나설 예정이어서 대우차 사태는 올해 노사의 첫번째 충돌현장이 될 전망이다. 회사측과 채권단은 더 이상 양보할 카드가 없는 상황이며 노동계는 이번 사태를 그냥 넘길 경우 정리해고를 수용한다는 비판을 벗어날 수 없다. 한편 창원공장 노조지부는 이날 하루 2시간의 잔업을 계속 거부하기로 했고 군산지부도 노조 지도부만 철야농성 등으로 동조파업을 할 예정이어서 당분간 지방공장은 정상 가동될 것으로 보인다. ◇대우차의 향방 총파업의 장기화로 부평공장 재가동 예정일인 오는 3월6일까지 사태가 해결되지 않으면 대우차 정상화와 매각작업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대우차는 재고를 줄이고 노조의 총파업에 대비하기 위해 부평공장 승용 1공장을 지난 12일부터, 2공장은 15일부터 가동을 중단했다. 재가동 예정일은 3월6일이다. 회사측은 6월까지 채권단의 지원을 받되 하반기부터는 별도의 지원 없이 자체생산 및 판매로 영업이익을 내고 홀로 선다는 방침이지만 장기분규로 생산차질이 빚어지고 회사 이미지가 악화되면 이 목표를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또 대우차 정리채권을 40%밖에 새 어음으로 교환하지 못하는데다 납품가 인하, 공급물량 축소가 겹쳐 연쇄부도의 우려가 높다. 업계 관계자들은 최악의 경우 미국 GM으로 매각은 물론 독자생존ㆍ법정관리 등 모든 살길이 막히는 최악의 사태도 우려하고 있다. 해외매각과 관련, 정리해고를 단행함으로써 공은 GM으로 넘어간 상태다. 업계는 GM이 3월 정기 이사회 등을 통해 곧 인수관련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보고 있으나 노사갈등이 심화되면 GM의 인수포기도 예상하고 있다. 대우사태는 이번 사태를 '짧고 조용하게' 끝내는 게 최선책이다. 대우차 관계자는 "무보증 할부제 등 판촉행사로 2월 판매가 1월보다 40% 정도 늘어나고 시장점유율도 20% 수준을 회복했다"며 노사갈등의 해결이 절실한 것으로 밝히고 있다. 고광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