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가정용 도시가스 요금 4.8% 인상

가계부담 월 2,540원 늘어날듯<br>전기料는 산업용만 9.4%올려<br>"추가인상 여부 상황보고 검토"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경기침체로 연기에 연기를 거듭했던 전기 요금과 도시가스 요금 인상안이 최종 확정돼 물가에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도시가스의 경우 가정용과 산업용이 각각 4.8%, 9.7% 오르고 전기 요금은 가정용 요금을 동결하는 대신 대규모 사업자가 사용하는 요금만 9.4% 인상하기로 했다. 일반가정의 경우 도시가스 요금 인상으로 월 2,540원의 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추정됐다. 지식경제부는 11일 연료비 가격 상승요인을 반영해 전기 요금은 평균 4.5%, 가스 요금은 평균 7.3% 인상한다고 밝혔다. 안철식 에너지자원실장은 “원료비 등의 인상이 있었지만 전기는 지난해 1월 이후, 가스는 올해 1월 이후 요금을 동결하면서 인상할 필요성이 컸던 게 사실”이라며 “다만 이번 전기ㆍ가스 요금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전기 요금의 경우 서민용과 중소기업 등의 요금은 동결했다”고 말했다. 또 전기ㆍ가스 요금의 추가 인상 여부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 뒤 결정할 것”이라며 “인상요인이 발생하더라도 인상을 최소화하거나 분산해 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기ㆍ가스 요금의 상세 조정내역을 보면 전기 요금의 경우 주거용(심야 포함), 중소기업용(산업용 갑), 소규모 자영업, 농어민용 등 4개 용도의 요금은 올리지 않았다. 대신 대규모 사업자가 사용하는 산업용 을ㆍ병만 9.4% 인상하기로 했다. 또 규모가 큰 식당 등 대규모 자영업자가 사용하는 일반용 갑(고압)의 요금도 6.2% 올리기로 했고 교육용과 가로등은 전체 인상률에 맞춰 4.5% 높인다. 벤처 및 창업활동, 기업의 연구개발(R&D) 활동, 인터넷데이터센터(IDC)에는 현행 요금보다 깎아주는 지식서비스 특례요금제가 새로 도입된다. 이에 따라 이들 부문은 기존에 적용하던 일반요금보다 9.4%를 덜 낸다. 가스는 가정용 4.8%, 가정용을 제외한 산업용 등 나머지에 대해 9.7%의 인상률을 적용하기로 했다. 가정용의 경우 현재 ㎥당 646원에서 677원으로, 산업용은 545원에서 598원으로 인상된다. 이번 요금 인상으로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일반가정의 경우 월 2,540원의 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정부는 추산했다. 전기는 13일부터, 가스는 오는 15일부터 인상률이 적용된다. 한편 정부는 이번 요금 인상으로 소비자물가는 0.077%포인트, 생산자물가는 0.227%포인트의 인상요인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