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환은행 헐값 매각' 놓고 공방

26일 열린 금융감독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국회정무위원회 업무현황보고 현장에서는 예상대로 외환은행 '헐값매각' 의혹을 놓고 의원들의 질문이 쏟아졌다. 그러나 윤증현 금감위원장은 시종 검찰수사와 감사원의 감사결과를 기다려봐야한다면서 답변을 피해갔다. 이날 업무보고에서는 특히 한나라당 유승민 의원이 외환은행 '헐값매각' 논란과관련, 시종 금감위의 책임을 강조하면서 윤 위원장을 압박했으나 윤 위원장도 지지않고 관련 의혹을 강하게 부인하면서 이에 맞서 팽팽한 긴장감이 연출됐다. 유 의원은 먼저 언론에 보도된 감사원 감사현황을 근거로 "론스타 문제는 금감위의 작품으로 보인다"면서 금감위 책임론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윤 위원장은 "감사 진행상황이 일일 브리핑하듯이 일간지에 보도된경우가 잘 없다"면서 "실제 언론에 보도되는 것과 실제 감사내용은 많은 차이가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자 유 의원은 돌연 김재록씨 이야기를 꺼냈다. 유 의원은 윤 위원장에게 김재록을 아는 지와 만난 적이 있는지, 만났다면 몇번쯤 만났는지를 따져 물었다. 유 의원의 질문에 윤 위원장은 잠시 머뭇머뭇 거리다가 "악수한 사이며 만난적은 있지만 많이 만나지는 않았으며 (여럿이) 같이 만난 자리에 합석했을 뿐"이라고답했다. 이에 유 의원은 답변이 부족하다는 듯 "김재록을 잘 아느냐"고 재차 물으면서 "윤 위원장이 금감위 위원장이 되는데 김재록씨가 압력을 행사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추궁했다. 윤 위원장은 "평소에 잘 알만큼 인연은 없다"면서 김재록씨 압력행사 문제에 대해서는 "의원님께서는 격에 맞는 질문을 해달라"고 받아쳤다. 유 의원도 여기에 지지 않고 "금감위 출입기록이 있느냐"면서 "(김재록씨를) 위원장실에서 만난 적이 있느냐"고 두 번을 연속해서 물었다. 이에 대해 윤 위원장은 "위원장실에서 만난 적은 없다"면서 "금감위 출입기록은1년 단위로 갖고 있지만 출입기록은 다른 부에서도 내놓지 않고 있으며 개인의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 내놓지 못함을 이해해 달라"고 요청했다. 유 의원은 이어 서울고 인맥으로 말을 돌렸다. 유 의원은 전윤철 감사원장과 이강원 전 외환은행장, 황영기 우리은행장 등 서울고 출신들의 이름을 거론하며 이들과 김재록씨와의 관계를 물었다. 이에 윤 위원장은 "이 전 행장 때문에 언론에서 일부 보도가 있었던 것 같다"면서 "공개적인 회의석상에서 이런 논의는 부적절하며 그런 식으로 따지자면 서울고인맥 말고도 경북고 인맥도 있지 않냐"고 답변을 피했다. 두 사람 간의 설전은 다시 외환은행 매각 문제로 넘어갔다. 유 의원은 "국제결제은행(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을 산정할 때 금감위에서 하지 않고 금감원에서 한 것에 대해 금감원이 '총대'를 맸다는 이야기가 사실이냐"고 따져 물었다. 이에 대해 윤 위원장은 "유 의원의 정보력에 경의를 표한다"면서 "전혀 들어보지 못한 이야기이며 감사원의 감사결과와 검찰 수사 결과에서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유 의원은 이에 감사원의 발표를 못 믿겠다고 하자 윤 위원장은 "국회에서 저희말을 못 믿어서 감사청구를 했는데 그걸 못 믿으면 어떻게 하느냐"고 면박을 줬다. 두 사람의 설전은 마지막까지 이어졌다. 유 의원은 이날 정무위에 제출된 외환은행 매각중단촉구 결의안이 본회의에서 통과될 경우 매각을 중단시킬 수 있는지에대해 물었으며 이에 대해 윤 위원장은 "법적 근거가 없다"면서 "연구는 해보겠다"고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