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중국 대박 노린다고 화장품사업에만 몰려서야

중견·중소업체들이 줄줄이 화장품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우리 화장품이 중국인의 최우선 쇼핑리스트에 오르자 너도나도 가세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새로 화장품 사업을 시작한 업체만도 줄잡아 50여개에 달한다고 한다. 특히 아모레퍼시픽이 중국에서 대박을 터뜨리고 황제주 반열에 오르면서 '제2의 아모레'를 노리는 경쟁이 뜨겁다.


행남자기·영도벨벳·티켓몬스터 등 회사 이름만으로는 화장품의 화자도 모를 것 같아 보이는 기업이 수두룩하다. 시계·섬유·제약·연예기획사 등 업종 구분이 없을 정도다. 지난달 '연비아'라는 브랜드를 선보인 영도벨벳은 경북 구미에서 50년 이상 섬유 분야에만 주력해온 중소업체다. 중국발 특수를 잡으려는 열기를 짐작할 만하다.

관련기사



세계 2위인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신성장동력을 찾으려는 기업들의 시도는 바람직한 현상이다. 한국산에 몰리는 중국의 화장품 수요를 적극 활용하는 것은 경제 전반에도 활력이 될 수 있다. 정부 역시 물심양면 도와줘야 할 일이다. 그렇더라도 지나친 쏠림 현상은 걱정이 아닐 수 없다. 한두 곳의 성공신화에 고무돼 치밀한 전략 없이 진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상당수 기업은 자체 기술력이나 생산시설마저 없다고 한다. 이렇게 묻지마식으로 신규 사업에 진입하면 잠깐이야 단맛을 볼 수 있겠지만 국제경쟁에서 도태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시류에 휩쓸려 비주력 분야에 한눈을 팔다 주력 부문마저 망가지는 사례를 과거에 수없이 목격하지 않았는가. 중국 시장이나 소비자들은 결코 만만한 상대가 아니다. 촘촘한 현지화 전략 등이 뒤따르지 않으면 큰 낭패를 볼 수 있다. 지난달 '서울포럼 2015'에 참석한 중국 기업인들이 한국 기업의 중국 진출 때 가장 필요한 요소가 '현지화 노력'이라고 강조한 것도 이 때문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