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예보의 단순매각 통한 우리銀 민영화 반대"

우리은행 노조 연구용역 보고서

예금보험공사는 우리은행의 민영화과정에서 매각을 통한 획일적이고 단순한 공적자금 회수방안이 아니라 자사주 매각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금융노동조합 우리은행지부(위원장 마호웅)는 2일 금융노조 산하 사단법인금융경제연구소에 용역을 의뢰해 만든 '우리은행 민영화 과제와 대응방안'이란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우리은행은 작년에 2조원가량의 수익을 냈고 2002년이후 흑자기조를통해 2003년말까지 배당가능이익이 1조2천억원 정도되는 상황인 만큼 선택가능한 대안이 많다"면서 "우리은행은 예보의 지분을 매입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우리은행은 일정조건으로 매입한 예보지분 일부를 종업원지주제와 연결할 수도 있다"며 "이러한 장치들은 우리은행의 장기가치 상승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소유구조를 디자인하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특히 "예보가 경영권 프리미엄을 염두에 두고 특정외자나 국내외 사모펀드(PEF)에 우리은행의 절대적 지배권을 넘겨주는 방식의 민영화는 전세계 은행소유구조 추세와도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위환위기 과정에서 공적자금이 투입된 우리은행은 작년 현재 총자산이 122조6천억원이며 정부지분율은 78.90%다 정부는 지난 3월 관련법 개정을 통해 우리은행의 주식을 법정시한인 2005년 3월27일안에 적정가격에 매각하기 어려운 점 등을 들어 민영화 기간을 최장 3년 연장한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유창엽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