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경수로 부지에 발전소 추진

정부, 신포 금호지구 남북 공동 활용방안 모색<br>한전, 北억류 중장비등 소유주에 지난해 先보상

신포 경수로사업이 종료됨에 따라 정부가 북측과 신포 금호지구의 땅을 발전소 건설 등 남북 공동사업 부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경수로 주사업자인 한국전력은 북측에 억류된 장비 238억원어치에 대해 선보상을 해준 것으로 확인됐다. 경수로사업의 한 핵심 관계자는 16일 “정부가 신포 경수로 부지를 ▦발전소 ▦농공업단지 ▦신ㆍ재생에너지 연구시범단지 등으로 남북간 공동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며 “이중 발전소 건설을 추진할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산업자원부와 한전도 올해 업무계획에 경수로 부지 활용방안으로 이 세 가지 방법을 상정해놓고 관련부처와 협의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신포 부지는 땅 고르기, 도로ㆍ항만 건설 등 인프라 공사가 끝나 발전소로 이용하기에 최적”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이 지난해 대북송전계획을 공개하면서 “신포 부지는 다른 평화적 목적으로 활용한다”고 밝힌 바 있어 이들 3대 사업이 대상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도 신포 경수로를 일반발전소로 대체하는 데 찬성했었고 대북송전 때문에 신규 발전소 건설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다만 장선섭 경수로사업단장은 “내가 아는 한 논의된 바 없다”며 관련 사실을 부인했다. 이와 관련해 다른 정부 관계자는 “신포 경수로 청산작업이 마무리되지 않아 부지활용 방안이 수면 위로 부상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경수로 부지 활용방안을 강구하는 동시에 남북 에너지 교류협력에 대비, 대북 경수로사업 수행기록도 종합적으로 정리하기로 했다. 한편 한전은 이미 지난해 말까지 북측에 억류된 중장비 및 차량 소유주 등에게 238억원을 선보상해준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두고 정부가 신포의 기자재 등이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의 재산이라고 주장하면서도 사실상 이를 포기, 북한에 넘기기로 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