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인사 태풍 부나" 관가 술렁

국토·행안·교육등 차관 모두 교체

대규모 차관인사에 이어 후속인사 태풍이 몰아칠 것으로 전망돼 관가가 긴장하고 있다.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모습. /서울경제 DB

이명박 정부 핵심 인사들이 장관으로 입성한 데 이어 실세 차관들이 줄줄이 정부청사로 들어서며 관가가 술렁이고 있다. 특히 대규모 차관인사가 단행됨에 따라 후속 인사태풍도 불어닥칠 것으로 전망된다.

◇기획재정부=이용걸 제2차관이 국방부 차관으로 이동하고 류성걸 예산실장이 제2차관으로 승진했다. 류 실장의 승진은 이미 예견된 상황이었지만 이 차관의 국방부 이동은 예상 밖이라는 분위기다. 이제 남은 1급 자리인 예산실장이 결정되면 재정부 실국장급 인사가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통상 예산총괄국장이 다음 실장 후보로 꼽히지만 외부 승진이 더 유력한 상황이다. 예산실장이 정해지면 경제예산심의관 등 나머지 비어 있는 국장급 인사도 곧 이뤄질 예정이다.

◇지식경제부= 김영학 제2차관 후임에 박영준 국무차장이 기용됐다는 소식을 접하자 술렁이는 분위기다. 내부 승진이 아니라 다소 뜻밖의 비(非)경제 분야 출신의 외부인사 발탁인데다 이명박 정부의 실세 중 실세로 통하는 인물의 입부(入部)라는 점에서다.


먼저 한 국장은 "귀빈을 모시게 됐다"는 표현으로 '실세 차관' 등장에 촌평을 하고는 "자원개발 등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나쁘지 않다고 본다"고 박 신임 차관의 적극적인 역할에 기대감을 표시했다. 박 차관 내정에 따라 당초 제2차관 후보로 물망에 올랐던 김정관 에너지자원실장, 조석 성장동력실장, 김경식 무역투자실장 등은 당분간 현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농림수산식품부=장ㆍ차관 3명이 모두 교체됐지만 추가 실ㆍ국장 인사는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1급 간부 중 양태선 기획조정실장과 임광수 수산정책실장은 올해 초 임명됐고 유병린 통상정책관과 박현출 식품산업정책실장은 업무의 연속성을 고려해 당분간 현직을 유지할 것이란 관측이다.

◇국토해양부=지난 '8ㆍ8' 개각에서 정종환 장관이 유임되면서 차관급 후속인사가 어느 정도 예상은 돼왔지만 제1차관과 제2차관이 동시에 교체되면서 앞으로 불어닥칠 인사 후폭풍에 뒤숭숭한 모습이다. 그동안 국토부는 여타 부처에 비해서 인사 적체가 심한 부처로 거론돼왔지만 이번 인사를 통해 행시23회가 포진해 있는 1급들의 대대적인 교체가 불가피해졌다.

우선 제1차관 내정자인 정창수 기획조정실장, 행복도시건설청장 내정자인 한만희 주택토지실장의 자리에 후속인사가 이뤄질 예정으로 주택ㆍ토지ㆍ건설 등 1차관 라인의 연쇄 이동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행시24회인 김희국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부본부장이 제2차관이 됨에 따라 23회인 1급들의 용퇴 여부가 주목된다.

◇행정안전부=제1ㆍ2 차관이 모두 교체된 행정안전부도 큰 폭의 연쇄 인사가 예상된다. 행안부 인사는 본부뿐만 아니라 지방자지단체의 부지사 등이 연관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