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장은 지금] 대전 도시개발 순위 논란

市, 서남부 신도시 개발에 일부 자치구 "원도심 먼저"


대전지역 일부 기초자치단체들이 대전시의 서남부권 개발을 연기하고 원도심을 우선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원도심ㆍ신도심 개발순위를 놓고 다시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대전 동구와 중구, 대덕구는 대전시가 둔산지구를 비롯해 노은지구, 대덕테크노밸리지구 등 신도심을 잇따라 개발한 이후 원도심은 공동화현상이 나타나는 등 침체국면을 면치 못하고 있다며 이제는 원도심 개발이 우선시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실제 이들 3개 자치구의 인구는 대전의 신도시 개발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지역경제 또한 어려움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자치구는 민선 4기 출범과 함께 우선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서남부권 1단계 개발사업의 연기를 일제히 요구하고 나섰다. 177만평 규모로 추진되는 서남부권 1단계 개발사업이 대전시의 계획대로 추진될 경우 원도심 개발은 다시 한번 힘을 잃게 상당수 주민들이 신도시를 향해 떠날 것이 불보듯하다는 생각이다. 이장우 동구청장은 “서남부권 개발은 원도심 활성화에 찬물을 끼얹을 것이 분명하다”며 “수십년 동안 도심개발을 기대해온 원도심 주민들을 생각하고 대전의 균형발전을 위해서라도 이제는 원도심 개발에 정책적 우선순위를 둬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전시와 서남부권 1단계 개발사업 시행자들은 “서남부권 개발사업 또한 당초 계획보다 상당 기간 지연되고 있는 상태로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발에 맞춰 이제 본격 개발하는 것이 타당하다”며 원도심 지자체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해 9월부터 이미 시작된 보상작업이 95%수준에 육박해 있고 일부 지역의 경우 주민들이 이주를 하는 등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작업이 본격화되고 있어 조만간에는 철거작업이 실시될 예정이라는 것이다. 토지공사, 주택공사, 대전도시개발공사 등 3개 시행사들은 오는 9~10월에는 서남부권 1단계 개발사업이 착공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전시의 10년 숙원 사업이 가시권에 들어왔다고 밝히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 또한 “원도심 지자체들의 입장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며 “서남부권 1단계 개발사업의 경우 이미 상당 부분 진척된 면이 많고 행정도시 배후도시 조성이라는 측면에서 개발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대전 구도심 지자체들은 대전 둔산개발 이후인 1990년대 중반 대전시가 서남부권 개발계획 추진계획을 밝히자 강력 반발한 바 있으나 대전시의 신도시 우선개발 논리를 극복하지 못하고 서남부권 개발사업 추진을 지켜봐야 했다.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