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선진 7개국(G7) 재무장관ㆍ중앙은행총재 회담에서는 중국 위앤화의 평가절상 문제가 최대의 관심사다. 중국이 처음으로 G7회담에 공식 초청을 받아 참석하는 만큼 G7국가들이 중국의 환율정책 및 무역불균형 문제에 대해 분명한 입장표명을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지난해부터 G7회담에서는 환율을 핵심 의제로 삼고 있기 때문에 이번에도 G7회담이 국제 환율 및 금융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번 회담에서는 또 환율문제 외에 연일 고공행진을 지속하는 유가에 대한 대응 방안과 빈국에 대한 부채탕감 문제도 논의될 예정이다. 이를 위해 G7은 중동과 남아프리카 12개국을 별도로 초청했다.
◇중국에 환율 유연성 촉구=
국제 무대에서 중국 위앤화 가치를 절상해야 한다는 압력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G7은 중국이 유연한 환율제도를 도입하도록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또 중국을 초청한 미국의 존 스노 재무장관도 최근 “중국이 환율제도를 유연하게 전환하도록 계속 압박하겠다”고 언급한 상황이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위앤화 문제에 대해서는 미국 등 G7 국가들과 입장을 같이 하고 있다. 로드리고 라토 IMF총재는 “중국은 고속경제 성장의 이점을 살려 환율변동 체계를 유연화해야 한다”며 “지금이 달러에 고정된 페그제를 폐지해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G7의 이 같은 움직임은 위앤화 뿐 아니라 엔화 등 아시아 통화 전반에 대한 절상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지난해 9월과 올 2월 열린 G7회담에서 유럽은 아시아 통화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돼 있다는 불만을 드러냈던만큼 이번 회담에서도 아시아 통화 가치가 높아져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고유가 대응방안 모색=
국제유가가 배럴당 50달러를 상회하고 있어 G7 국가들은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중동 산유국들에 생산을 늘리도록 압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유가가 40달러 수준으로 올라섰던 지난 5월에도 G7국가들은 회담을 통해 “세계 경제가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산유국들이 공급량을 충분히 늘려야 한다”고 촉구했었다.
스노 미 재무장관은 지난달 30일 G7회담을 앞두고 가진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중동 산유국에 생산량 확대를 통해 현재의 고유가 상황에 대응해 줄 것을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었다. 그는 또 “현재의 유가 수준은 너무 높다”며 “그들이 고집을 부린다면 세계 경제는 침체에 빠질 것이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최빈국 부채탕감 논의=
이라크를 비롯한 최빈국에 지원을 하자는 의견에는 일치를 보고 있지만 부채 탕감 규모에 대해서는 국가마다 입장이 서로 다르다. 현재 미국은 부채를 최대 100%까지 탕감하자는 입장이나 영국 등 역내 다른 나라들은 부정적인 자세여서 합의도출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영국은 극빈국의 채무경감을 위해 오는 2015년까지 매년 약1억8,000만달러씩의 채권을 유예하겠다고 밝혔었다. 프랑스는 국제자본이동에 세금을 도입해 빈국 부채를 해결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이밖에 1,200억달러에 이르는 이라크의 대외부채중 얼마를 탕감할 것인지도 이번 회담의 주요 의제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