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선진국 환경규제 대책 서둘러야"

상의, 환경노하우 전수기업 자원 필요미국과 유럽연합(EU)의 역내 환경규제 강화 움직임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1일 산업자원부에 건의한 '기업의 자발적 환경경영 확산을 위한 정책제언' 자료에서 EU는 오는 2006년부터 역내에서 유통되는 모든 전자제품에 납 사용을 금지하고 2006년부터 차량의 80%(중량기준)와 정보통신기기의 60~80%를 재활용하도록 조치를 취했다. 이와 함께 미국도 2004~2007년까지 자동차 배출 질소산화물 등의 77~95% 감축을 요구하는 등 환경규제를 급속히 강화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일본은 지난 99년부터 대체기술 양산체제를 갖추는 등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데 비해 국내에서는 최대 전자회사인 A사조차 올들어 양산기술 개발에 착수하는 등 대응이 너무 늦다고 상의는 지적했다. 상의는 이에 따라 환경규제에 대비 국내 환경경영기법을 보유한 기업들이 협력업체에 환경경영기법을 전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상의의 한 관계자는 "주요 기업들이 협력업체에 자발적으로 환경경영 노하우를 전수해주고 정부는 협력업체에 인센티브를 주는 등 각종 지원에 나서야 한다"며 "환경기술과 환경경영기법을 도입하지 않고서는 기업의 미래가 없다"고 말했다. 조영주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