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시장선 멕시코ㆍ日선 중국이 최대 경쟁국

미국ㆍ중국ㆍ일본 등 3대 시장에서 각각 멕시코ㆍ일본ㆍ중국이 우리나라의 최대 경쟁국으로 떠올랐다. 27일 한국무역협회가 펴낸 ‘미ㆍ중ㆍ일 수출시장에서의 국별 경쟁현황 분 석’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시장에서 우리나라의 최대 경쟁국은 경쟁도지수 0.201을 차지한 멕시코로 나타났다. 경쟁도지수는 특정시장에서 한국의 10대 경쟁국의 품목별 시장점유율을 우 리나라의 수출금액으로 가중 평균해 산출한 것으로 경쟁도지수가 0.20이면 시장점유율이10개국 전체의 20%임을 뜻한다. 미국시장에서는 멕시코 다음으로 중국(0.188), 캐나다(0.188), 일본(0.176), 독일(0.079) 등과 경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96년 경쟁도지수가 멕시코 0.157, 중국 0.131, 일본 0.254였던 점을감안하면 멕시코와 중국은 우리나라와의 경쟁도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일본은 1위에서 4위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시장에서는 일본(0.317)이 한국의 최대 경쟁국인 것으로 분석됐다. 다 음은 타이완(0.244)ㆍ미국(0.113)ㆍ독일(0.080)ㆍ말레이시아(0.054) 순이었다. 96년과 비교할 때 일본ㆍ타이완ㆍ미국의 경쟁도지수는 다소 낮아졌지만 다 른 나라들보다 훨씬 높아 아직도 우리나라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시장에서는 중국(0.327)이 한국의 최대 경쟁국이다. 미국(0.196)ㆍ인도네시아(0.109)ㆍ타이완(0.097)ㆍ말레이시아(0.088)가 그 뒤를 이었다. 일본에서 중국은 한국과의 경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반면 미국과 한국의 경쟁 정도는 빠르게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남아 국가는 아직 우리와 경쟁 정도는 낮지만 기계류ㆍ전기기기 등을 중심으로 대일 수 출을 크게 늘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무역협회는 주요 시장에서 경쟁에 이기려면 ▦지속적인 연구개발(R&D) 및 설비투자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 ▦환율ㆍ금리 등 가격경쟁 요소에서 유리한 환경조성 ▦디자인 및 브랜드 이미지 제고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한국의 시장점유율은 미국 3.1%(7위), 중국 11.0%(3위), 일본 5.0%(3위)였다. 손철기자 runiron@sed.co.kr <저작권자ⓒ 한국i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손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