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야후, 오픈형 홈페이지 통해 반격 노린다

“글로벌(Global), 오픈(Open), 소셜(Social)이 이번 개편의 핵심입니다”

김대선 야후코리아 대표이사는 3일 야후의 새로운 오픈형 홈페이지를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야후는 ‘글로벌’을 목표로 타임(Times), BBC, 트위터, 페이스북의 컨텐츠를 야후에서 직접 볼 수 있게 했다. 야후를 통해 전세계에서 업데이트 된 새로운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국내 이용자 뿐만 아니라 전세계 야후 이용자들과도 소통 할 수 있게 하였다. 야후는 미국에서 홈페이지 및 메일 기능을 강화한 서비스를 선보이고 대만에서는 SNS를 최적화 하는 등 각 국가의 특성에 맞는 협업 체계를 갖추고 있다.

관련기사



야후는 ‘오픈’을 기반으로 외부 사이트의 컨텐츠를 이동없이 볼 수 있게 했다. 예를 들어 야후 홈페이지 왼쪽에 자리한 ‘아고라’를 클릭하면 ‘퀵뷰’를 통해 다음의 아고라를 볼 수 있다. 또한 초기 연동 서비스 설정을 통해 구글의 지메일(Gmail)이나 트위터 및 페이스북 등을 별도 로그인 없이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아울러 최상단의 투데이 섹션에서 외부 블로그나 동영상 사이트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했다. 야후는 네이버의 데이터베이스(DB)나 다음의 커뮤니티 등 각 포털의 장점을 서로 교환해가며 오픈 기반 시스템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소셜’ 기반의 서비스도 확대할 예정이다. 야후의 SNS 서비스인 소셜펄스를 통해 업데이트된 내용이 트위터나 페이스북에서도 연동되어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아울러 SNS와 연계된 검색 서비스도 3분기에 출시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이번 홈페이지 개편을 통해 현재 5%미만인 검색 점유율을 두배 이상 끌어올리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