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은행 연체율 급등…잠재부실 '경고등'

부동산 침체·구조조정 여파 <br>지난달 5대 은행중 3곳 정부 권고치 1.07% 넘어<br>나머지 2곳도 가파른 상승


SetSectionName(); 은행 연체율 급등…잠재부실 '경고등' 부동산 침체·구조조정 여파 지난달 5대 은행중 3곳 정부 권고치 1.07% 넘어나머지 2곳도 가파른 상승 민병권기자 newsroom@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부동산시장의 장기침체와 기업 구조조정 단행의 여파로 은행 대출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5대 주요 은행 중 세 곳의 연체율이 적정 안전선으로 평가되는 1%를 훌쩍 넘어 대출 잠재부실에 대한 경고등이 켜졌다. 금융 전문가들은 "은행마다 대출 연체율 관리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지만 개인 및 기업 대출자들의 이자상환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연체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며 "조만간 금리마저 인상된다면 대출연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4일 서울경제신문이 입수한 주요 은행의 대출자산 상각ㆍ매각 현황자료에 따르면 국민ㆍ우리ㆍ신한ㆍ하나ㆍ기업은행 등 5대 은행의 실질 연체율(부실대출 자산 매각ㆍ상각 전 연체율)은 지난 한달여 사이 급등, 6월18일 현재 이중 세 곳의 연체율이 각각 1.19~1.36%에 달했다. 나머지 두 곳의 연체율은 아직 1% 미만이지만 연체율이 현재 추세로 계속 가파르게 오른다면 위험수준에 다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들 5대 은행은 2ㆍ4분기에만 총 2조4,732억원대의 부실대출 자산을 상각(회계상 손실처리)ㆍ매각하면서 연체율 관리에 나섰지만 대출 연체 증가를 막지는 못했다. 은행별 실질 연체율은 ▦A은행 1.36% ▦B은행 1.25% ▦C은행 1.19% ▦D은행 0.91% ▦E은행 0.79% 등으로 집계됐다. 이중 A은행은 3월 1.04%였던 실질 연체율이 두 달 뒤인 5월 말 1.16%를 기록해 정부 권고치를 넘어섰으며 6월 들어서는 18일 만에 0.2%포인트나 치솟아 상황이 급속히 악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B은행 역시 같은 기간 중 실질 연체율이 1.00%→1.11%→1.25%로 뜀박질했으며 C은행의 실질 연체율도 0.95%→1.09%→1.19%로 상승했다. 이들 은행은 상반기 실적발표를 앞두고 연체율을 낮추기 위해 부랴부랴 부실대출 자산을 대량으로 상각(회계상 손실처리)하거나 매각했지만 정부와 약속한 은행권 평균 연체율 권고치 1.07%를 맞추지 못했다. 특히 B은행의 경우 상각ㆍ매각으로 2ㆍ4분기에만 무려 8,608억원어치(잠정 추계치)의 부실채권을 처분했음에도 이를 반영한 연체율은 6월18일 현재 1.12%였다. A은행과 C은행도 2ㆍ4분기 중 각각 6,036억원(잠정 추계치), 5,812억원(〃)의 부실자산을 상각ㆍ매각했지만 연체율은 1.22%와 1.16%를 기록해 안전선인 1%를 크게 웃돌았다. D은행과 E은행 연체율은 아직 안정권이지만 증가세가 가팔라지고 있다. 이중 E은행은 6월 들어 18일 만에 연체율이 0.12%포인트나 올랐다. D은행은 이 기간 중 연체율이 0.07%포인트 상승했다. 한 시중은행의 여신담당 간부는 "연체율이 급등한 것은 대기업과 건설사 구조조정과 부동산경기 침체 등에 따른 결과로 보이는데 하반기에도 이 같은 요인들은 여전한데다 금리인상 가능성까지 있어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될 것 같다"고 내다봤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