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오너경영 기업 성과 더좋다

오너가 경영에 직접 참여하는 기업이 전문경영인이 주도하는 기업에 비해 경영성과가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3일 ‘소유ㆍ전문경영의 성과비교와 시사점’ 이란 보고서에서 “국내 비금융 상장사 574개 기업을 대상으로 2000~2003년 자산수익률ㆍ주가상승률ㆍ매출액수익률 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오너가 경영을 주도하는 기업 및 그룹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높은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자산운용의 효율성 지표인 자산수익률의 경우 ‘전문경영인 기업’은 이기간에 1.3%에 그친 반면 오너 경영 기업은 2.4%, 간접소유 기업은 5.4%, 그룹사 6.1% 등으로 나타났다. 주가상승률에서도 전문경영기업은 -11.9%를 기록한 반면 그룹사의 경우 69.6%에 달했으며 간접소유기업의 경우에도 10.5%를 기록했다. 매출액수익률은 오너 경영 기업(-9.2%)이 전문경영인 기업(-1.6%)보다 상대적으로 실적이 떨어졌으나 그 외 간접소유 기업이나 그룹사는 각각 4.2%, 6.8%로 상대적으로 좋은 실적을 기록했다. 이번 조사에서 특히 오너 경영 기업 중에서도 집단화 형태를 보일수록 그 성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분석돼 자산수익률이나 주가상승률에서 모두 그룹사>간접소유>직접소유기업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의 관계자는 “오너 경영기업이 전문경영 기업보다 경영성과가 우월한 것은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현상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S&P 500대 기업의 2003년 경영성과를 분석한 미국 경제주간지 ‘비즈니스위크’는 오너 경영기업의 자산수익률과 주주수익률, 매출액증가율이 각각 5.4%, 15.6%, 23.4% 등으로 전문경영 기업보다 각각 1.3%포인트, 4.4%포인트, 12.6%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