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진로-보해, 광주·전남 소주시장서 격돌

진로, 360㎖로 용량늘린 ‘참이슬’ 공급개시<br>보해, 300㎖ ‘잎새주’ 수성전략 마련 고심



광주ㆍ전남지역 소주시장을 놓고 진로와 보해간 한판 승부(?)가 시작됐다. 격돌의 대상이 국내 대표 주류업체와 지역 중소업체로 골리앗과 다윗의 싸움과 비견될 만해 주류업계와 주당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역소주 시장에 선제 포문을 연 곳은 진로. 진로는 최근 이 지역 소주시장에 360㎖ 용량의 ‘참이슬’을 공급하기 시작했다. 광주전남지역에는 현재 300㎖급 용량의 소주가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황이다. 진로는 60㎖ 늘린 대용량 소주를 대형소매점과 소주 수요가 많은 일반음식점에 공급하면서 시장공략에 나선 것. 진로의 이 같은 전략은 지역 주류업체인 보해의 최근 시장점유율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보해의 지역 소주시장 점유율은 한때 70%까지 떨어졌으나 ‘골드’와 ‘천년의 아침’ 등의 선전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회복하기 시작해 85%까지 회복했다. 진로의 이 같은 대용량 소주 공급에 보해측은 크게 긴장하고 있다. 지난 99년 진로가 ‘참이슬’ 300㎖를 공급하면서 매출을 올리려는 일반 음식점들이 보해소주를 외면하고 용량이 적은 ‘참이슬’을 선호하면서 점유율을 30%까지 내줬던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최근 소비자 의식이 높아지면서 주당들이 작은 용량 차이에도 민감하게 반응, 진로의 대용량 전략이 먹혀 들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 음식점의 입장에서는 300㎖나 360㎖나 용량의 큰 차이가 없어 같은 가격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진로소주를 선호하는 것. 실제 상무지구 한 음식점 사장은 “지역업체인 보해의 ‘잎새주’를 올리더라도 손님들이 용량이 큰 ‘참이슬’을 찾는 경우가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보해측은 “올 1월부터 진로소주의 용량이 확대돼 이 지역에 공급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아직까지는 긴장의 끈을 놓지 않은 채 시장 상황을 살펴보고 대응방안을 마련중에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