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4월 5일] 정책대결 실종된 실망스런 선거전

총선일이 4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무슨 선거가 이래” 하는 푸념이 유권자들 사이에서 절로 나오고 있다. 안정과 견제세력 확보를 위한 여야 간 정책대결은 보이지 않고 ‘집안싸움’만 돋보이는 희극 같은 선거전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유력 야당 대표들이 과거 한나라당 소속이었던데다 공천에서 탈락한 후보들이 대거 출마하면서 무엇이 선거쟁점인지 감을 잡기 어려운 분위기다. 헷갈리지 않는다면 이상하다. 뒤죽박죽이라 유권자 해먹기도 힘든다는 말이 나올 만하다. 당과 정책이 보이지 않으니 지연ㆍ학연ㆍ혈연ㆍ개인의 호불호(好不好)가 당락을 좌우하는 선거가 됐다. 묘한 당명을 내건 ‘박근혜 마케팅파”, 유권자의 감성에 호소하는 ‘읍소파 ’, 전 대통령의 영향력에 의지하는 ‘기생형’에다 망국병인 지역감정 부추기기까지 얼굴을 내미는 등 정책대결은 말뿐이고 그나마 내건 정책도 비슷비슷하다. 이처럼 정책이 실종되고 학연ㆍ지연과 호감도가 당락을 좌우하는데다 박빙의 선거구가 늘어남에 따라 금권선거가 슬며시 고개를 내밀고 있다. 5일과 6일은 선거를 앞둔 마지막 주말이고 향락철이 시작되는 터라 각가지 불법ㆍ탈법이 기승을 부리지 않을까 걱정된다. 선거전이 과거보다는 많이 맑아졌다고는 하나 아직도 금권ㆍ탈법선거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한 후보자가 있다는 것은 우리 정치의 후진성을 말해준다. 선거구도가 뒤죽박죽돼버렸지만 이런 때일수록 유권자는 현명한 판단을 해야 한다. 각 당의 정책 등을 꼼꼼히 살피고 금권 유혹과 지역감정을 단호히 배격하는 등 지금부터 투표준비를 단단히 할 필요가 있다. 탈당 및 이합집산을 밥먹듯이 하는 후보를 선택하면 정당정치가 뿌리내리기 힘들고 안정과 견제세력 확보라는 구호의 의미도 퇴색한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한마디로 집안싸움 같은 선거가 된 것은 국민을 무시한 ‘도전’이다. 이 같은 선거구도가 된 데는 유권자의 책임도 크다는 반성에서 이를 단호히 징벌하고 심판할 준비를 해야 한다. 책임의식을 가지고 올바른 판단을 한다면 희극 같은 선거가 다시는 재연되지 않을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