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B형간염 간암전이 예방 길텄다

서울대 정구흥 교수팀, 억제 매커니즘 규명

B형 간염 바이러스가 간암으로 발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생체 메커니즘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사람의 5∼8%를 차지하는 B형 바이러스 감염 환자의 간암 발전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 서울대 정구흥(52ㆍ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인체 내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면역 단백질 ‘인터페론 감마’가 B형 바이러스의 암 발전을 억제하는 과정을 밝혀냈다고 15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 인터페론 감마를 투여한 결과 간암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엔에프-카파비(NF-kB)’라는 신호전달체계의 활성이 감소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를 계기로 B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의 간암 발달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