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주의력 결핍장애 치료제 암유발 가능성

美앤더슨 암센터 보고서

어린이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로 널리 쓰이는 메틸페니데이트(상품명 리탈린)가 암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경각심을 주고 있다. 치료제가 암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은 부작용으로 DNA 손상을 유발한다는 의미이다. 미국 텍사스대학 M.D. 앤더슨암센터 린다 엘 제인 박사는 암전문지 'CancerLetters'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ADHD 어린이 12명(남자 10명, 여자 2명, 평균연령 8.5세)을 대상으로 실시한 검사결과 리탈린을 복용한 지 3주만에 암과 관련된 염색체 이상이 약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제인 박사는 자매염색분체교환(sister-chromatid exchanges)이라고 불리는 DNA 손상이 투약 후 4.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자매염색분체교환이란 세포의 분열과정에서 쌍으로 된 DNA가 갈라진 뒤 올바로 재결합하지 못한 경우를 말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