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제3시장 개선안' 신중해야

증권부 홍병문기자 hbm@sed.co.kr

[기자의 눈] '제3시장 개선안' 신중해야 증권부 홍병문기자 hbm@sed.co.kr 증권부 홍병문기자 정부가 고사(枯死) 직전인 제3시장에 대해 대대적으로 손질할 움직임이다. 더불어 침체 위기에 빠진 코스닥시장을 활성화시키는 방안도 병행해서 모색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증권시장에서는 일단 이 같은 정부의 개선방침을 반기면서도 한편으로는 고개를 갸웃한다. 시장 관계자들 사이에선 “시점이 묘하다”는 평가가 공공연하다. 이번 개선방안이 최근 논란이 일고 있는 뉴딜형 경기부양책과 시기적으로 맞물려 나왔다는 점에서 정부가 순수한 의도에서 시장을 안타깝게 여겨 마련한 것인지 의심하는 눈치다. 사실 제3시장과 코스닥시장의 위기나 한계는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최근까지도 대주주 관련 불공정 거래가 빈발하다. 부실기업 퇴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투자자들의 불신도 극에 달했다. 제3시장은 문제가 더 심각하다. 지난 2000년 3월 장외시장으로 공식 출범했지만 최근 들어 하루 거래금액이 3,000만원에 그칠 정도로 투자자들이 외면하고 있다. 심지어 장외 주식거래가 사설 사이트를 통해 이뤄지기도 해 세금 탈루는 물론 선의의 투자 피해 등 문제점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는 지적도 많았다. 시장이 가장 의심스럽게 바라보는 포인트 이렇다. 절벽에 끝에 매달린 코스닥과 제3시장에 대한 정부의 개선책이 위기수위를 반영하기보다 졸속으로 만들어진 흔적이 짙다는 점. 제3시장을 코스닥의 임시 퇴출통로로 만들겠다는 개선안도 현실성을 무시한 듯 보인다. 그렇지 않아도 투자자의 관심권에 멀어진 제3시장이 퇴출기업 창구라는 이미지까지 겹친다면 누가 선뜻 투자하려고 하겠는가. 투자자들은 아직도 일회적인 대책보다 미래를 내다본 신중한 정책을 기다리고 있다. 입력시간 : 2004-11-09 18:0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