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北 11·23 연평도 도발] 韓美日 '공조' 초점, 中은 '중재자' 자처

각국 '연평도 해법' 치열한 수 싸움<br>韓, 한미동맹 강화·도발 억제<br>美는 對北 이어 中까지 압박<br>日도 자위대 반경 확대 겨냥<br>3국 공동 대응속 속내는 달라

북한의 연평도 도발로 미국과 중국 등으로 대표되는 주변국들의 동북아 정세 주도권 쟁탈전이 과거 천안함 사태 때와는 또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29일 복수의 외교전문가들은 '연평도 해법'을 놓고 제각기 전략적 이해를 극대화하려는 각국의 수계산이 천안함 사태 때보다 훨씬 적극성을 띠고 있다고 보고 있다. 민간인 희생이라는 용납할 수 없는 북한의 도발이 이 같은 적극성의 근거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은 중재자 역할을 자임하며 전날(28일) 6자회담 수석대표 긴급협의 카드를 꺼냈다. 특히 중국은 다이빙궈 국무위원과 양제츠 외교부장을 필두로 6자회담 조속 재개에 외교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중국이 북한으로부터 어떤 수준의 양보를 얻어내느냐에 달려 있지만 지금까지는 한미일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자칫 중국의 중재 외교전이 실패할 경우 북한과 함께 외교적 고립에 빠질 수 있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한국과 미국ㆍ일본은 동맹ㆍ우방국가와의 공조 외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중국의 6자 긴급협의 제안에 대한 외교적 대응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한미일은 오는 12월5일부터 8일까지 미국 워싱턴에서 3국 외교장관 회담을 갖고 연평도 도발에 대한 공동대응 기조의 틀을 최종 확인할 예정이다. 이 같은 의기투합은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한 공동대응 방침에 근거하지만 속내를 들여다 보면 조금씩 다른 기류가 감지된다. 한국은 한미동맹을 보다 강화해나가며 북한을 압박하는 동시에 추가도발을 억제하고 한반도 비핵화 동력을 확보하는 데 외교적 방점이 찍혀 있다. 미국은 항모 조지워싱턴호를 서해에 입성시킴으로써 대북압박은 물론 대중압박에도 한 발짝 진전된 모습을 보였다. 환율전쟁 등으로 이래저래 불편한 관계에 있는 중국을 몰아세울 수 있는 동력을 확보했다는 평가가 그래서 나온다. 일본은 동북아 긴장고조를 이유로 자위대의 활동 반경을 넓히려는 시도를 할 것으로 전망되며 러시아는 이례적으로 북한을 비난하는 자세를 보이고 있는데 유엔 안보리와 같은 다자공간을 통해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는 전략적 포석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