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심층진단] 40·50대 실직공포 심각

[심층진단] 40·50대 실직공포 심각 특별한 기술없어 재취업 힘들어 “입사 후 20여년간 한 것이라고는 열심히 일한 죄 밖에 없는데 살아가는 것이 왜 이렇게 고달픈지 모르겠습니다. 매일 아침8시 집을 나와 이리저리 일자리를 찾아 다니지만 마땅한 직장을 찾지 못해 한숨만 나올 뿐입니다.”(건설업체에 근무하다 최근 실직한 48세 김모씨) “아직은 그럴듯한 조직에 몸담고 있습니다만 이 달 말부터 구조조정을 시작하면 사표를 써야 할 것 같습니다. 실직이라는 것은 남의 일처럼 생각해 왔는데 자식들 보기에 면목없고 주변 사람들의 눈총이 두렵습니다.”(H은행 지점장으로 재직중인 50세 이모씨) 부실기업 퇴출바람과 맞물려 40대이상 `준고령자'의 실직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들을 위한 정부의 대책은 고작 `언 발에 오줌누기식'의 공공근로사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유경준 연구위원은 “제조업 중심의 산업에서 정보통신 등 새로운 산업구조로 바뀌면서 40대이상 실직자들은 노동시장에 다시 진입하는 것 조차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과거 번창했던 제조업이 사양화 되고, 특별한 기술이 없는 사람들에게도 많은 일자리를 제공해 주었던 건설업이 침체되면서 이들의 주름살은 더욱 깊어가고 있다. 특히 이들은 바로 장기실업자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김수현 삶의질향상기획단 자활정책팀장은 “40대이상 준고령 실업자들은 2~3년 내에 노동시장에 재진입할 가능성이 낮고 취직을 해도 임시-일용직이 대부분이어서 또 다른 분야의 고용창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늘어나는 실업을 막기 위해 돈을 마구 뿌리는 식의 `무대책 같은 대책'을 내놓는 정부도 문제다. 유연구위원은 “이러한 정부의 시혜적인 실업정책은 오히려 재정의 건전성을 해치고 물가상승만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런 점에서 노동문제 전문가들은 준고령자들을 위해 정부가 장기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공공근로 등의 실업대책은 당장 저소득층의 생계유지에 도움은 줄지 모르지만 정부에서 내놓는 대책으로는 알맹이가 없다는 것이다. /박상영기자sane@sed.co.kr입력시간 2000/11/12 18:01 ◀ 이전화면

관련기사



박상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