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현대차 정회장 꼭 구속해야 하나

현대차 비자금사건을 수사해 온 검찰이 각계의 탄원에도 불구하고 결국 정몽구 현대ㆍ기아차그룹 회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기로 했다. 법원의 최종판단이 남아 있지만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현대차의 비중과 현대차에서 정 회장의 역할이 절대적인 점을 감안할 때 후유증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염려스럽다. 검찰은 원칙에 따른 수사였으며 부패한 기업의 환부를 도려내 경제정의를 바로 잡기 위해서는 정 회장의 구속수사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증거인멸의 가능성도 덧붙였다. 그러나 이번 사안의 성격에 비추어 굳이 구속까지 할 필요가 있었느냐는 여론이 지배적이다. 검찰이 수사 초기부터 이미 비자금내역 등을 속속들이 파악하고 있었고 정 회장 부자를 비롯해 현대차 주요 임원들이 수사에 성실히 임했기 때문이다. 또한 정 회장에 대한 구속은 그동안 대기업 총수에 대해 불구속수사를 원칙으로 했던 관행에 비춰볼 때 형평에도 맞지 않는다. 검찰은 지난해 강정구 교수 사건을 계기로 불구속수사를 원칙으로 하겠다고 스스로 다짐했다. 그런 원칙을 검찰 스스로 무너뜨린 것이 아닌지 걱정된다. 이제 판단은 법원으로 넘어갔다. 우리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할 때 더 이상 현대차의 경영공백이 계속되어서는 안될 일이다. 재벌 회장의 구속을 놓고 각계가 선처를 호소하는 탄원이 이렇게 봇물을 이룬 적은 일찍이 없었다. 현대차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지대하다는 의미다. 지난 한달 동안의 검찰수사만으로도 현대ㆍ기아차의 4,300여 하청업체, 해외 딜러들은 적잖은 시련을 겪었다. 당장 4월 유럽지역에서의 판매가 16%나 줄었다. 세계자동차산업은 앞으로 5개 메이저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세계랭킹 7위인 현대차가 글로벌 톱5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정몽구 회장의 역할이 절대적이다. 현대차의 글로벌전략 후퇴는 우리 자동차산업에는 물론 경제에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더 이상 현대차의 경영이 주춤거려서는 안 된다. 현대차의 경영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법원의 선처를 기대한다. 현대차도 이번 사태를 윤리경영과 투명경영의 출발점으로 삼아 환골탈태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