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기아차 "포스트 브릭스 잡아라"

印·러 등 성장 둔화 따라 중동·阿·중남미로 눈돌려<br>신시장 공략 전략짜기 착수 판매망·생산기지 진출 고려


현대ㆍ기아차가 '포스트 브릭스(Post Brics)' 전략 수립에 본격 착수했다. 브릭스 가운데 중국을 제외한 브라질ㆍ인도ㆍ러시아의 자동차 시장 성장세가 둔화하면서 중동ㆍ아프리카ㆍ중남미ㆍ동남아시아 등 신시장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해서다.

28일 현대ㆍ기아차 고위관계자는 "포스트 브릭스 전략을 어떻게 짤지 최근 연구를 시작했다"면서 "이는 앞으로 현대ㆍ기아차 세계 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테마로 다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ㆍ기아차는 중국과 인도ㆍ브라질ㆍ러시아 등 신흥시장의 자동차 수요 폭발에 세계 완성차 업체 중 가장 잘 대응했다고 자체 평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현재 세계 5위의 자동차 메이커로 성장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들 4개국 중 중국만이 굳건할 뿐 나머지 세 나라의 경제 환경은 전망이 어둡다. 이 때문에 브릭스 이후를 대비하는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는 게 현대ㆍ기아차 측의 생각이다.

현대ㆍ기아차의 포스트 브릭스 전략에는 중동ㆍ아프리카ㆍ동남아ㆍ중남미에 대한 판매망 및 서비스망 구축, 투입 차종 확대는 물론 장기적으로는 생산기지 진출까지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포스트 브릭스 지역은 단기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수도 있다. 회사 관계자는 "러시아와 브라질ㆍ인도는 내년 이후 경제위기가 닥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올 정도로 상황이 어려운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최악의 경우 세 나라 소재 공장에서 생산한 차종을 다른 지역으로 반출해 판매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어 새로운 시장에 대한 단기 전략을 세우는 것도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현대차그룹 산하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에 따르면 실제로 올해 현대ㆍ기아차의 지역별 판매 예상치를 보면 러시아와 인도가 전년 대비 각각 4.6%, 8.2% 감소하고 현지 공장이 본격 가동을 시작한 브라질만 0.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반면 아세안 국가에 대한 판매는 올해 5.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멕시코와 중남미는 각각 7.3%, 5.4% 늘 것으로 보인다. 중동 판매는 1.5% 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곳은 값비싼 대형차가 주로 팔리는 시장이라 이익률 면에서는 무시할 수 없다.

현대ㆍ기아차 관계자는 "과거에는 중국과 러시아ㆍ브라질ㆍ인도를 묶어 브릭스라고 불렀지만 이제는 중국은 별도의 시장으로 보고 세계 전략을 세우는 것이 보편적"이라면서 "앞으로는 중국과 포스트 브릭스가 세계 수요를 이끌어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미국 GM 역시 중국 상하이에 있는 해외사업 부문 총괄본부를 싱가포르로 이전하고 중국 사업은 독립 운영하기로 최근 결정했다. 싱가포르로의 본부 이전은 중동과 아프리카ㆍ동남아 등을 공략하는 데 보다 주력하겠다는 의미다. 미국과 유럽ㆍ일본 업체들도 중국 자동차 시장 추가 진출의 문이 사실상 닫힘에 따라 앞으로의 성장이 예상되는 곳을 선제 공략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전개해나가고 있는 게 사실이다.

현대ㆍ기아차 관계자는 "해외 경쟁사들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브릭스에서의 성공을 기타 신시장에서도 이어나가기 위해 다양한 사내 의견을 모으고 있다"고 밝혔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