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포털업체 "불똥튈라" 전전긍긍

공정위, NHN 이어 다음 불공정거래 조사<br>SK컴즈·구글 등 포함여부 관심

공정거래위원회가 NHN에 이어 다음커뮤니케이션으로 불공정거래 조사를 확대하면서 포털 업계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 시장감시국은 이날 오전 서울 한남동 다음커뮤니케이션 사옥으로 조사관을 보내 현장조사에 돌입했다. 공정위는 다음이 포털 서비스 '다음'을 운영하면서 콘텐츠제공업체(CP) 등 협력업체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했는지를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다음서비스 등 8개 자회사를 통해 '일감 몰아주기' 등 내부거래 여부도 철저히 가려낸다는 계획이다. 또 한남동 사옥과 별도로 제주 본사에 대한 현장조사 역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음커뮤니케이션의 한 관계자는 "언제까지 조사가 이어질지는 현재로서는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최대한 성실히 조사에 임하겠다는 게 회사의 기본 방침"이라고 말했다.


앞서 공정위는 지난 14일 국내 1위 포털 네이버를 운영하는 NHN 분당사옥에 조사관을 파견해 시장지배적 지위 남용과 부당 내부거래 등 불공정 거래 행위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이어 21일에는 NHN의 자회사인 NBP에 대해서도 불공정 거래와 관련된 전방위적인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공정위는 NHN의 검색광고 계약 자료 외에도 쇼핑, 부동산, 모바일 광고 등 사실상 네이버를 통해 제공하는 모든 분야에 대해 조사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NHN의 한 관계자는 "현재 조사가 막바지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알고 있다"며 "공정위 조사에 전적으로 협조한 만큼 결과를 기다리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공정위가 잇따라 포털 업계를 상대로 불공정거래 조사에 착수하면서 SK커뮤니케이션즈와 구글 등 나머지 포털업체들은 자칫 불통이 튀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시장점유율은 5% 미만에 불과하지만 검색광고를 비롯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조사 대상에서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특히 구글은 지난 2011년과 지난해 위치정보 서비스 및 개인정보통합 문제와 관련해 우리 정부와 여러 차례 마찰을 빚은 적 있어 공정위의 조사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위가 이번 조사에 대한 결과를 내놓기까지는 최소 3개월에서 많게는 6개월 이상 걸릴 것으로 보인다. 공정위는 지난 2007년에도 NHN과 다음을 대상으로 독과점과 불공정거래 등 공정거래법 위한 여부를 조사했지만 혐의를 입증하는 데 실패했다. 때문에 공정위의 이번 조사는 결론이 나오기까지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포털 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갑을관계'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포털 업계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에 착수한 걸로 보인다"며 "시장지배적 사업자 논란도 여전히 큰 만큼 후발업체들은 공정한 조사 결과를 내심 기대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