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확한 테이크백이 굿샷 만든다.

골프 스윙은 시작이 좋아야.가끔 「시작이 반이다」와「시작이 좋으면 결과가 좋다」라는 격언은 골퍼들을 위하여 만들어진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 골프 스윙은 시작이 좋으면 분명 굿샷을 만든다. 골프스윙에서 시작은 테이크백에서 이어지는 백스윙이다. 어드레스는 그 전 단계인 준비자세. 따라서 훌륭하고 멋진 샷을 날리기 위해서는 테이크백을 정확히 해야 한다. 테이크백의 스피드와 방향에 따라서 스윙의 리듬과 템포 그리고 궤도가 결정되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오늘은 백스윙의 잘못된 원인과 바로잡는 요령을 소개한다. ◇백스윙의 오류=핸디캡이 높은 아마추어들의 백스윙을 관찰해보면 대부분 몇 가지 공통적인 오류를 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①너무 힘이 들어가 있고 팔의 힘으로 밀어준다. ② 상당히 빠른 스피드로 테이크백을 한다. ③테이크백과 동시에 코킹을 하며 허리가 돌아간다. 이 동작들은 스윙의 리듬을 깨고, 몸을 경직시키며, 스윙궤도를 8자형으로 만들어 체중이 역 이동되는 결과를 가져오므로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테이크 백=테이크백은 백스윙의 시작에서 코킹을 시작할 때까지를 말한다. 테이크백을 시작해서 코킹에 들어가기 직전까지는 하체와 허리 굽힘 각도를 어드레스 자세 그대로 유지하고, 상체 즉 왼쪽 어깨와 양팔만으로 백스윙을 시작한다. 테이크백 동작중에 코킹을 하면 스윙궤도가 너무 평평(FLAT)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테이크백은 낮고 길게 약 20㎝정도 목표선과 평행하게 밀어주고 높이는 8시 방향까지 한다. 이때 오른팔꿈치는 약간 접히게되고 왼쪽 팔꿈치는 펴져있어야 하고 머리와 시선은 볼을 향한다. ◇코킹=코킹이란 손바닥을 합장한 상태에서 엄지방향쪽으로 손목을 꺽어주는 동작을 말한다. 이와 반대되는 현상은 언코킹이다. 테이크백이 끝난 시점에서부터 왼팔의 높이가 지면과 팔이 평행하게 되는 9시방향까지 옮겨지는 사이에 코킹을 한다. 이 때 팔의 모양은 왼손은 쭉 펴져있는 상태로 지면과 평행하여야 하며, 오른팔은 팔꿈치가 허리에 거의 붙어 있는 상태이며, 팔꿈치의 각도는 90°가 되어야 하고, 팔꿈치의 방향은 최대한 지면을 향하도록 한다. 코킹이 끝난 시점까지 하체의 모양은 거의 어드레스 자세를 유지해야하고 코킹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클럽 샤프트는 지면과 수직이되어야 한다. ◇체중이동과 백스윙=코킹이 끝나면 백스윙이 시작되는데 이때부터 왼쪽무릎은 약간 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왼발에 남아있는 체중을 오른쪽으로 옮겨주어야 한다. ◇백스위 톱=톱이란 백스윙의 마지막 순간을 말하며 다운 스윙의 준비자세이다. 코킹에서 톱까지 가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코킹이 완료된 시점에서부터 톱까지 팔의 스윙은 어깨 회전을 마무리하며 왼쪽 어깨가 턱밑으로 들어가고 팔은 들어만 준다. 톱의 위치에서 샤프트는 목표선상과 일직선으로 평행하여야 한다. 이때 왼팔이 곧게 펴져 있으면 이상적이기는 하나, 꼭 펴져 있어야만 좋은 스윙이 나오는 것은 아니므로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이미 왼팔 팔꿈치가 굽혀지는 스윙자세 또는 오버스윙에 길들여져 있다면 굳이 스윙폼을 바꿀 필요가 없으니 너무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백스윙 톱에서는 다음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①왼쪽어깨는 턱 밑으로 들어가 있는가. ②시선은 볼을 향해 있는가. ③허리가 굽혀진 상태가 어드레스시 허리의 숙임 각도와 같은가. WWW.GOLFSKY.COM헤드프로PROKPGA@GOLFSKY.COM 입력시간 2000/05/11 17:0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