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MBA로 가는 길] 건국대학교

이공계 인력의 CEO로 통하는 '관문'

건국대 MBA 전기 신입생 입학식. 건국대 MBA 과정은 각종 팀 프로젝트로 기업의 실무 문제에 대한 '현장형 결과물'을 만들어내도록 가르치는 것이 강점이다.

오세경 원장

건국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MBA)은 이공계 인력을 중심으로 기술경영에 특화한 MOT(Management Of Technology) MBA와 일반경영에 특화한 TOP(Top Of your Profession) MBA 등 두 분야로 나눠 경영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건국대 MBA는 이공계 인력이 최고경영자(CEO)가 되는 관문이 되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특히 건국대 MBA 첫 신입생으로 삼성ㆍ현대차ㆍ포스코 등의 우수한 전ㆍ현직 직장인들이 지원하는 등 성공적으로 학생을 유치해 시장 수요에 부응한 MBA 프로그램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오세경 건국대 경영대학원장은 "최근 이공계 인력의 CEO 진출이 많아지면서 이들에 대한 기술경영교육과 일반경영교육 수요가 높아져 맞춤형 교육이 필요해졌다"며 "건국대를 중심으로 30분 이내 지역에 서울 지역의 기술 및 경영 연구소가 집중돼 있고 대기업 본사가 많이 있는 지리적 장점과 건국대의 국제적 네트워크 활용을 극대화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MOT MBA는 주간 과정 풀타임 MBA로 연구개발(R&D) 전략 등 기술 개발과 사업화의 중요성이 큰 기업환경에 맞춰 전통적 MBA프로그램의 재무ㆍ회계ㆍ생산운영ㆍ인사조직ㆍ마케팅ㆍ전략경영ㆍ국제경영 등 경영 전반 교육을 이공계 인력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기술경영 분야의 교육을 강화해 제공한다. MOT MBA 분야는 기술경쟁이 가속화하는 추세에 따라 2000년대 들어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TOP MBA는 야간ㆍ주말 과정으로 주로 직장인을 대상으로 최고 수준의 재무ㆍ회계ㆍ생산운영ㆍ인사조직ㆍ마케팅ㆍ전략경영ㆍ국제경영 등 경영 전반을 교육하며 자신이 재직하는 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 도출 혹은 신 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특화하고 있다. 현장형 아웃풋을 만들어내기 위해 강의는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학생들은 3~4학기 두 학기에 걸쳐 자신이 전공한 분야에서 신제품 개발, 비즈니스모델을 도출하는 팀프로젝트를 수행해 현장형 아웃풋을 내게 되는데 지도는 산학협력으로 이뤄진다. 이와 함께 건국대 MBA는 차별화된 경영교육을 위해 미국 스탠퍼드대와 다양한 교류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건국대 '밀러MOT스쿨' 명예원장인 밀러 스탠퍼드 교수와의 협력 및 스탠퍼드의 심화(Advanced Project Management) 프로그램을 반영한 교과과정 개발, 중ㆍ일ㆍ대만의 협력대(일본 와세다대, 대만 칭화대, 중국 자오퉁대)로 구성되는 아시아 3각축(Asia Triangle)과의 학점교류 등 해외 대학 교류 및 다양한 글로벌 연계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