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부부처 브리핑실·송고실, 이르면 내달초 폐지·축소

홍보처, 국내외 실태 발표 의견수렴후 방안 내놓기로

정부가 이르면 4월 초순부터 정부부처 내 브리핑실과 송고실을 폐지하거나 대폭 축소할 것으로 보인다. 국정홍보처는 지난 1월부터 해외 기사실 운영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국가들이 정부부처에서 브리핑실과 기사 송고실을 운영하는 사례가 없다는 내용의 ‘국내외 취재지원시스템 실태’를 22일 발표했다. 안영배 국정홍보처 차장은 이날 정부 종합청사에서 “이번 실태조사를 토대로 각계 의견을 수렴해 취재지원 시스템을 선진화하고 대언론 취재지원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 차장은 이어 “기사 송고실과 출입기자실은 달라야 한다”며 “앞으로 개선방안에서 구체적인 안이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정부 한 관계자는 “사실상 기자실 폐쇄에서부터 축소 등 다양한 방안을 놓고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라며 “중앙 부처 홍보관리관들이 1박 2일 동안 모여 기자실 운영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브리핑실과 송고실에 변화를 줘야 한다는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 차장은 “우리나라처럼 거의 모든 부처에 기자실과 브리핑실을 운영하는 곳은 없다”며 “과거와는 같지는 않지만 (기자실을) 폐쇄적으로 운영하는 부분이 어느 정도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국정홍보처가 발표한 기자실 운영실태 조사를 살펴보면 미국과 일본, 이탈리아 등도 정부 내에 브리핑실 뿐 아니라 기자실까지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은 백악관ㆍ국무부ㆍ국방부ㆍ법무부에 상주 기자실을 설치, 언론사별로 자리를 배치하고 있었고 이탈리아는 총리실에 통신사 기자 중심으로 6명의 상주 기자를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 현재 중앙ㆍ과천ㆍ대전 합동청사 및 13개 단독청사에 37개의 브리핑실과 송고실이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기존의 기자실은 이미 참여정부 초기인 2003년부터 폐지돼 개방형 브리핑제도로 운영되고 있다. 이번 조사는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 1월 16일 국무회의 석상에서 “거기(기자실)에 몇 명 기자들이 딱 죽치고 앉아 보도자료를 자기들이 가공하고 만들어 나가고 담합하고 있다”는 발언 이후 이뤄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