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美 "核시설 불능화 연내 완료를"

北 "對北 적대 정책 변화해야"<br>■ 6자회담 첫날

미국이 18일 열린 6자 회담에서 ‘연내 북한 핵시설 불능화 완료, 내년 한반도 비핵화 실현’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북한은 핵시설 불능화에 앞서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와 대적성교역법 적용 종료 등 이른바 미국의 대북 적대시정책의 확실한 변화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한ㆍ미국ㆍ중국ㆍ러시아ㆍ일본 등의 6자 회담 수석대표들은 이날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회담을 갖고 북한 영변원자로 가동 중단 등 2ㆍ13합의 초기조치 이행 후속단계에 대한 논의에 착수했다. 이날 회담에서는 북한이 이행할 핵시설 불능화 수준과 시한, 미국의 상응 조치인 대북 적대시정책 변화, 핵프로그램 목록 신고의 최대 쟁점인 고농축우라늄(HEU) 등의 현안을 집중 논의했다. 미국 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차관보는 이날 “아직 합의에 이르지는 않았지만 우리는 (핵시설 불능화와 모든 핵프로그램 신고 등) 2단계에서 해야 할 조치들을 연말을 전후해 마무리짓자고 이야기하고 있다”면서 “연내에 2단계 조치들을 끝내자는 합의를 시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회담에 앞서 남북과 북중은 수석대표 회동을 갖고 입장을 사전 조율했다. 우리 측 수석대표인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이날 “베이징에 비가 잘 오지 않는데 밤새 단비가 대지를 촉촉이 적셔 좋은 분위기에서 논의할 수 있겠다”며 기대감을 표시했다. 천 본부장은 그러면서도 “신고와 불능화 단계는 아직 가보지 않은 곳이기 때문에 장애물을 어떻게 제거하며 지도를 어떻게 그리느냐가 수석대표 회담의 과제”라면서 “앞으로 진행할 로드맵에 대해 허심탄회하고 심도 있는 논의를 할 수 있다면 (이번 회담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6자 회담 의장국인 중국은 이번 6자 수석대표 회담의 성과를 정리하는 공동문건을 ‘의장성명’ 또는 ‘의장요약’ 형식으로 채택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이 문건에는 ▦2ㆍ13합의의 초기단계 조치와 다음 단계 이행 문제 ▦6자 외교장관 회의 일정 ▦5개 실무그룹(WG)회의 개최일정 등이 담길 것이라고 현지 외교소식통이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