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혼게이자이신문이 지난 5일 발표한 '2014년 세계 주요 상품 서비스 점유율 조사'에 따르면 미국은 50개 조상 대상 품목 가운데 16개 품목에서 1위를 차지했고 유럽이 10개였다. 일본은 9개였으며 한국은 이보다 1개 적은 8개였다. 특히 중국의 경우 1위 품목은 6개였지만 인터넷 검색 서비스 등에서 빠른 속도로 1위 기업을 추격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조선 분야에서는 한국의 대우조선해양이 1위에 오른 것을 비롯해 현대중공업이 2위를 차지하는 등 상위 5개사 가운데 4곳이 한국 기업이었다. 스마트폰·태블릿용 중소형 액정패널은 2013년 3위였던 LG디스플레이가 저팬디스플레이·샤프 등 일본 기업들을 따돌리고 수위를 차지했다. LG디스플레이의 점유율 상승은 중국의 신흥 스마트폰 업체들에 대한 공급이 늘어난 덕분으로 보인다. 스마트폰에서는 삼성전자(24.5%)와 미국 애플(14.8%) 2강이 차지하는 점유율이 떨어진 반면 3위인 중국 레노버그룹이 7.2%로 2.7%포인트 끌어올렸다. 4위인 중국의 화웨이(5.7%)의 점유율도 0.9%포인트 상승했다.
리튬이온 전지는 삼성SDI가 1위를 지켰지만 점유율은 떨어졌다. 2위인 일본의 파나소닉이 미국 테슬라모터스에 대한 리튬이온 전지 출하를 확대하면서 삼성SDI를 바짝 추격하고 있는 형국이다. 검색 서비스는 미국 구글이 43.8%로 선두를 유지했지만 2013년보다 15.8%포인트 떨어졌다. 2위인 중국의 바이두가 25.8%로 구글을 빠른 속도로 추격했기 때문이다.
한편 일본 기업 가운데서는 도레이(탄소섬유), 소니(이미지 센서), 파나크(산업용 로봇), 도요타(자동차), 니치아화학(백색LED), 소니(게임기기), 캐논(디지털 카메라·렌즈 교환식 카메라) 등이 점유율 1위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