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구글 스마트폰 해킹 위험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탑재한 스마트폰이 해킹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졌다. CNN을 비롯한 주요 외신들은 18일(현지시간) 독일 울름 대학 연구원들의 조사를 인용해 안드로이드폰 이용자의 97%가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보안상 결함이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진저브래드라 불리는 안드로이드 2.3.4 보다 이전에 출시된 버전을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경우 와이파이망을 통해 연락처와 달력, 사진 등이 노출될 수 있다. 연구진은 블로그를 통해 “간단한 방법으로 다른 사람의 개인 정보를 볼 수 있고 심지어 빼낼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진저브래드는 이번 달 출시된 최신 운영체제로 구글이 보안상 허점을 고쳤다고 밝힌 버전이다. 하지만 전체 안드로이드폰 이용자의 3%에 불과하다. 거의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개인정보 유출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한 셈이다. 이에 대해 구글측은 안드로이드의 개선 작업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현재 수정 패치를 배포하고 있다. 며칠 내로 해결될 것”이라며 “구글 서버에 문제가 생긴 것이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따로 조치를 취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외신은 구글이 수정 패치를 배포하더라도 관련 제조사들이 이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몇 개월에서 길게는 몇 년까지 소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울름 대학 연구원들은 안드로이드폰 이용자들이 자신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암호화되지 않은 와이파이망을 피하고 최신 버전의 안드로이드로 업데이트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