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임창만 대구연구개발특구본부장 "기술·사업력 결합한 연구소기업이 창조경제 모델"


"대학·연구기관의 기술(특허)과 기업의 경영능력을 결합해 사업화하는 연구소기업이 창조경제의 모델입니다."

최근 잇따른 연구소기업 설립으로 주목받고 있는 임창만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대구연구개발특구본부장(55·사진)은 "특구 사업의 초점을 연구소기업 설립에 맞추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연구소기업이란 대학 등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을 사업화하기 위해 자본금 가운데 20% 이상을 직접 출자해 연구개발특구 안에 설립하는 기업을 말한다.

관련기사



임 본부장은 "국내 첫 연구개발특구인 대덕의 경우 한해 9개 연구소기업 설립이 최고였지만 대구특구는 올 상반기에만 11개 연구소기업 설립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현재 대구특구에는 지난달 설립한 5개를 포함해 총 10개 연구소기업들이 운영되고 있다. 여기에다 이미 6개 특허가 연구소기업 설립을 위한 기술가치평가를 끝냈고 17개 태스크포스(TF)팀이 꾸려져 매칭 기술을 찾고 있다.

임 본부장은 "과거 공공기술사업화 과정에는 연구소와 기업 사이에 건널 수 없는 큰 강이 존재했다"고 설명했다. 기업은 상품화 과정에서 연구자의 추가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기술이전계약서' 작성 이후에는 기업과 연구소의 협력이 이뤄지지 않아 대부분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얘기다.

임 본부장은 "연구소기업은 연구기관이 기술료를 받은 게 아니라 지분을 투자하기 때문에 기업공개(IPO) 등 기업이 성장할 때까지 공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연구기관은 기술을 출자해 기업의 주인이 되고 기업은 석학이 참여한 부설 연구소를 세우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GDP 대비 연구개발비 투자액이 세계 2위지만 연구결과를 사업화하는 연구생산성은 30~40위권인 연구개발 투자불균형 문제를 연구소기업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국내 연구개발특구의 효시인 대덕에 자리한 기업 수는 2,000~3,000개에 불과하지만 대구경북권은 10배 많은 약 3만개의 기업이 가동되고 있다"며 "생산기반이 풍부한 반면 기술기반이 취약한 곳"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