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16일 총파업 선언 철도노조·화물연대, 정부에 긴급 노정교섭 제안

오는 16일 공동 총파업을 선언한 철도노조와 화물연대는 정부에 긴급 노정교섭을 제안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연맹 산하 철도노조와 화물연대는 6일 영등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철도와 화물 공동 파업은 우리나라의 물류와 철도 교통을 멈추게 할 것”이라며 “공동투쟁본부는 이 같은 공동 파업의 위력을 잘 알기 때문에 마지막까지 원만한 교섭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투본은 또 “철도공사와 건설교통부 자체의 힘만으로는 교섭 진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물류대란을 막기 위해 국무총리실에 건설교통부ㆍ기획예산처ㆍ재정경제부ㆍ노동부 등이 참여하는 긴급 노정교섭을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노동부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직접 교섭에 나설 사안이 아니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노동계에서는 철도노조와 화물연대가 실제 파업에 들어가더라도 파업 참여 강도는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철도노조의 파업 찬반투표 찬성률이 53.28%로 역대 최저였고 현 집행부의 지지기반이 상대적으로 취약한데다 중앙노동위원회의 직권중재 회부 결정에 따른 불법파업이라는 부담도 있기 때문이다. 화물연대의 경우 소속 화물ㆍ컨테이너 차량이 1만대 정도로 전체 화물차량 32만대의 3% 정도에 불과, 다른 차량에 대한 운송 방해행위 없이 운송 거부만 할 경우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화물연대는 정부에 ▦유류세ㆍ도로비 인하 ▦표준요율제 실시 ▦물류정책기본법 개정 ▦특수고용직인 화물노동자의 노동기본권 보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한편 코레일(철도공사)은 철도노조가 파업에 들어갈 경우 열차운행 횟수가 하루 1,275회로 평시의 41.8% 수준으로 감소하고 열차 종류별 운행률은 전동차 51.9%, KTX 36.8%, 새마을 17.7%, 통근열차 22.9%, 화물열차 14.7%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