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해외로 떠난 기업 逆유치 추진

中 규제강화·인건비 급등으로 ‘국내 유턴’ 늘자 <br> 공장 재배치 추진…판로·자금 지원도 적극 나서

3일 관련 지자체에 따르면 인천시는 해외로 진출한 공장들의 국내 복귀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점을 적극 활용하고 노후화한 지역 산업단지를 지식ㆍ정보ㆍ기술집약의 신산업구조로 고도화하기 위해 이 달 중 1억7,000만원을 들여 ‘공장재배치 용역’을 발주하기로 했다. 시는 해외 진출 기업들이 다시 돌아올 경우 주안ㆍ남동 공단 등에 공장을 설립할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이를 지원하기위해 R&D 및 혁신클러스터, 도시첨단산업단지 등을 구축할 방침이다. 김태복 기업지원과장은 “산업구조 개편과 구조 고도화를 유도하고 인건비가 싼 중국, 동남아, 인도 등지로 진출한 지역 기업들이 국내로 유턴하는 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어 이를 대비하기 위해 공장 재배치 용역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경기도도 해외로 진출한 한국기업 가운데 현지 여건상 기업활동이 어려운 기업을 찾아 국내 또는 북한 개성공단으로 유치하는 방안을 마련중이다. 도 관계자는 “지난 6월 중국 선양(瀋陽)과 칭다오(靑島) 등에서 현지 진출 한국기업인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개최해보니 한결같이 중국투자의 위험성을 경고하면서 외국진출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대책을 호소해 이 같은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말했다. 도는 해외 진출한 한국기업 가운데 국내 이전을 고려하고 있는 업체를 대상으로 실태파악에 나서고 이들 기업에 대해 국내 이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자금이나 세제, 자동화설비, 판로 및 인력확보 등 지원시책을 수립, 도내 각 공단이나 북한 개성공단으로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 도는 오는 2010년까지 대략 65개 내외의 외국 진출 한국기업을 역(逆)유치 할 방침이다. KOTRA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해외에 진출한 한국법인은 중국 3,319개, 미국 548개, 베트남 348개 등 모두 7,570개사에 달한다. 도는 이와 함께 국내 기업의 해외이전을 억제하기 위해 자금, 기술, 판로, 인력, 정보 등 분야별로 세부계획을 세워 지원하기로 하고 올 연말까지 관련 용역을 의뢰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국내기업의 해외진출로 산업생산이 감소하고 일자리가 축소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며 “여건상 국내로 다시 들어오기를 희망하는 국내기업을 적극 발굴해 자금 등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