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학 R&D 성과 기술이전 도우미役 톡톡

KISTI '대학기술 가치평가 지원사업'<br>시도별 1곳씩 16개 대학 선정<br>방치됐던 사업화 가능 기술 발굴<br>가치 평가·사업화 등 원스톱 지원

KISTI가 대학 기술 가치평가 지원사업을 통해 휴먼 R&D 성과의 경제적 가치를 재창출하고 있다.

잠자고 있는 대학 R&D 성과에 새 생명 불어 넣는다 국내 기업들이 세계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일이 많아지면서 독자적인 기술 확보, 즉 원천특허의 중요성이 새삼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기업들의 인식변화에도 불구하고 독자적인 원천특허 개발 경험의 부족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반대로 대학에서는 다양한 연구성과들이 도출되고 있지만 기업과의 연결고리를 찾지 못해 사장되는 사례가 심심찮게 일어난다. 그렇다면 이 둘을 연결해주면 어떨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대학기술 가치평가 지원사업'이 바로 그런 존재다. ◇대학 R&D 성과 기술이전 저조=우리나라는 국제통화기금(IMF) 경제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를 효율적으로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세계 각국은 이러한 위기극복의 주된 요인으로 과학기술을 꼽는다. 특히 산학협력을 통한 우수한 과학기술 전문인력의 양성과 산학 공동연구에 따른 첨단정보 및 기술의 공급을 경쟁력의 원천으로 분석한다. 실제로 특허청 발표에 따르면 대학과 연구소가 창출한 연구개발(R&D) 특허 성과이전율과 건당 기술이전료가 최근 5년간 각각 3배, 5배 증가하는 등 그 활용도가 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이는 미국과 비교할 때 글자 그대로 조족지혈에 불과하다. 특허 성과이전율은 3분의2, 건당 기술이전료는 무려 80분의1 수준인 것. 이에 전문가들은 기업이 필요로 하는 우수 R&D 성과의 창출에 더해 개발된 기술의 정확한 가치평가와 효과적 이전시스템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박영서 KISTI 원장도 "기존의 기술이전 사업화 연계 체제는 기술과 경제적 가치, 그리고 수요 기업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며 "신기술의 발굴과정과 기술 가치평가, 산학 연계 및 사업화를 원스톱 추진할 수 있는 일관된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의 일환으로 미국 등의 선진국들은 R&D 시작 전에 사업 자체의 경제적 타당성을 면밀히 분석, R&D 투자의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한다. ◇기술 가치평가 지원사업 추진=KISTI가 추진하고 있는 '대학기술 가치평가 지원사업' 역시 맥락이 동일하다. 대학들이 개발, 보유하고 있는 R&D 성과 중 사업화가 가능한 유망기술을 발굴하고 해당 기술의 경제적 가치를 제대로 평가해 사업화를 이루는 것이 궁극적 목표다. 지원사업은 크게 시스템 보급과 활용 지원, 수행역량 강화, 기술이전 대상과제의 심층적 기술가치 평가 수행 등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KISTI는 이미 지난 2001년부터 R&D의 경제적 성과와 기술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별도의 가치평가 지원시스템을 운영 중에 있다. 이 시스템의 특징은 기술가치 평가에 있어 각 단계별로 추정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주요 지식정보들을 KISTI의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는 물론 선별된 인터넷 정보까지 활용해 지원함으로써 평가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제고한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 KISTI는 보유 중인 기술에 대한 기술이전 의지와 기술가치 평가의 필요성 등에 대한 수요조사를 거쳐 시도별로 각 1개 대학씩 총 16개 대학을 지원대상으로 선정 완료한 상태다. 이 중 6개 대학은 휴면 연구성과 중 유망 기술이전 기술을 정해 심층적 기술가치 평가와 기술이전 협상을 위한 다각적 지원이 이뤄지게 된다. 또한 나머지 10개 대학들도 대학 내의 자체적인 활용방안 모색을 위한 각종 인프라∙교육∙컨설팅 등이 제공된다. 박 원장은 "이 사업을 통해 기초·원천기술의 특성을 반영한 기술분석 및 평가시스템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표명했다.
"학내 R&D 성과 해외특허 도와드려요"
서울대, 출원 등 모든 비용 지원 서울대가 글로벌 특허전쟁에 본격적인 출사표를 던졌다. 서울대는 최근 학내 연구개발(R&D) 성과의 해외특허 출원을 적극 지원, 그동안 저조했던 해외특허 등록률을 증진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연구결과의 시장성을 평가해 타당성이 입증되면 국내외 특허 출원 및 등록, 유지비용 일체를 지원한다. 사실 서울대는 그동안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역량에도 불구하고 해외특허 등록률은 그리 높지 못했다. 지난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총 2,556건의 특허를 출원, 905건을 등록했는데 해외특허는 111건으로 비중이 12.2%에 불과했다. 서울대는 이번 조치의 첫 단계로 특허권 거래가 활발한 미국∙유럽∙일본∙중국 등을 우선 공략할 방침이다. 또한 오는 2020년까지 특허 로열티 및 기술이전 등으로 300억~500억원의 수익을 창출한다는 복안이다. 이는 현재 서울대 연간 예산(1조원)의 3~5%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서울대 산학협력단의 한 관계자는 "해외 특허 출원∙등록에는 건당 2,000만~3,000만원이 소요된다"며 "비용지원을 통해 해외특허 등록률이 높아지면 내년 1월 법인전환을 앞두고 중장기적인 재정자립도 제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 관계자는 KISTI가 개발∙운영 중인 기술가치 평가시스템을 활용, 기술정보와 시장정보를 동시에 결합함으로써 경제성 평가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