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산림산업을 키우자] 우드펠릿 등 에너지원 얻고…

탄소 배출권 확보하고… <3> 해외조림에서 길을 찾다<br>목재 조달서 조림 목적 다양화 <br>포스코·코린도·LG상사 등 해외 조림지 앞다퉈 확보

인도네시아의 기름야자나무 농장에서 한 인부가 팜유를 짤 야자열매를 따고 있다.

이건산업이 남태평양 솔로몬제도에 조성한 인공조림지.

코린도가 일정 간격으로 조림한 유칼립투스 펠리타

기업이든 국가든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이용을 늘려야 생존ㆍ발전할 수 있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수원이자 저탄소 에너지원인 산림의 가치가 뜀박질하고 있다. 우리 기업들도 우드펠릿ㆍ바이오디젤 등 신재생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해외 조림사업에 경쟁적으로 뛰어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포스코는 국내 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조림사업에 착수했다. 가구ㆍ합판ㆍ중밀도섬유판(MDF)ㆍ펄프 원료 등 전통적인 목재자원 확보에 그쳤던 조림사업의 목적이 다원화되고 목재산업과 인연이 없던 대기업들도 속속 가세하고 있다. 투자처로는 지난 2006년 목재자원 확보용으로 50만㏊, 올해 우드펠릿 원료 등 목재 바이오매스(Biomass, 줄기ㆍ가지ㆍ잎ㆍ뿌리 등 나무 전체) 확보용으로 20만㏊의 조림대상지를 한국 기업에 추천하기로 우리 정부와 협약을 맺은 인도네시아의 인기가 높다. 코린도ㆍLG상사ㆍ인도코ㆍ솔라파크 등의 우드칩ㆍ펠릿용 조림지, 팜유(palm oil, 마가린ㆍ쇼트닝ㆍ비누ㆍ바이오디젤 원료)를 얻기 위한 코린도ㆍ삼성물산ㆍ대상홀딩스ㆍ삼탄의 기름야자나무(oil palm) 조림지, 고무 수액 등을 채취하기 위한 SK네트웍스의 조림지가 모두 인도네시아에 몰려 있다. 코린도는 중부 칼리만탄(보르네오)에 6만3,000㏊ 조림허가를 새로 따냈고 인도코는 지난 9월 6만8,000㏊(술라웨시주) 조림 예비허가를 받았다. 산림조합중앙회는 서부ㆍ남부 칼리만탄에 5만5,000㏊ 규모의 조림허가를 따내기 위해 지방정부의 허가수속을 밟고 있거나 타당성 조사를 하고 있다. 중부 자바에서 이미 우드펠릿을 생산하고 있는 솔라파크 인도네시아도 3만㏊의 조림지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녹색사업단도 2만㏊가량의 우드펠릿 전용 시범조림지를 확보, 다양한 방식으로 속성수를 밀식 재배해 경제성이 높은 사업 모델을 개발, 관심 있는 기업들에 전파할 계획이다. 4~5년만 키운 나무를 모두 베어낸 뒤 통째로 파쇄해 펠릿을 만드는 방법, 일부만 간벌해 전부 펠릿으로 만들고 나머지는 더 키워 줄기는 목재로 팔고 나뭇가지 등만 펠릿 제조에 쓰는 방법 중 어느 쪽이 경제적인지 등을 둘러싸고 견해가 엇갈리기 때문이다. 승은호 코린도그룹 회장은 "인도네시아 조림사업은 연평균 생장량(MAIㆍ1㏊, 즉 1만㎡의 산림에서 나무가 일정 기간 자란 양을 ㎥로 환산한 뒤 햇수로 나눈 값)이 코린도 클론임업의 경우 현재 약 30㎥로 한국(3㎥)의 10배나 되고 10년 뒤에는 40㎥ 수준에 이를 것"이라며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가치 역시 월등하므로 한국이 저탄소 녹색성장의 해외 교두보로 시급히 투자해야 할 분야"라고 말했다. 조현제 녹색사업단 단장은 "오는 2020년께 국내 우드펠릿 수요량이 500만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데 국내에서 원료를 조달할 수 있는 양이 100만톤에 불과해 400만톤은 해외에서 조달할 수밖에 없다"며 "세계 각국이 앞다퉈 조림사업에 뛰어들면서 조림지 확보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조림지를 확보해도 나무를 심고 수확하는 데 최소 7년 정도 걸리기 때문에 조림지 확보를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인도네시아는 임지확보ㆍ주민보상이 쉽지 않은데다 사업수행을 위한 기본적인 행정 시스템과 도로ㆍ항만 등 시설 인프라가 열악해 투자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김훈 코린도 이사는 "사업지 안팎의 기반시설을 직접 구축해야만 사업이 가능해 신규 투자자가 감당해야 할 초기 비용이 많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2005~2007년 매년 1만~1만3,000㏊씩 증가해온 우리 기업들의 해외조림 면적은 지난해 3만8,523㏊로 크게 늘어났다. 올해도 상반기 신규 해외조림 면적이 예년의 연간 실적에 버금가는 1만2,190㏊에 달하고 현지 정부의 허가절차를 밟고 있거나 한국 산림청에 아직 해외조림사업 신고를 하지 않은 기업들이 적잖아 상당한 증가폭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