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발언대]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의 가치

김권수 SK건설 홍보팀 과장

사회복지ㆍ교육ㆍ환경ㆍ지역사회 등 다양한 방면에서 기업들의 사회공헌 활동이 연일 신문지면을 장식하고 있다. 사회적 책임이 사회공헌이라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는 ‘기업 시민 정신’에 바탕을 두고 있다. 기업 시민(Corporate Citizenship)이란, 기업도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책임과 의무가 있음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기업을 사회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시민의 일원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조직체로 보는 개념이다. 그렇다면 기업의 이런 사회공헌 활동은 어떤 가치를 지닌 것일까. 이윤 극대화를 위해 존재하는 기업이 사회공헌에 나서는 배경에는 우선 ‘장기적인 이익’이 있다. 이는 ‘사회참여의 장기이윤모델(long-run profit model of social involvement)’에 바탕을 둔 것으로 사회공헌 활동의 지속적 전개는 기업과 사회와의 우호적 관계 형성을 촉진시켜 원활한 기업활동과 장기적인 이익을 가져온다는 점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경제적 수익은 필연적으로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다음으로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은 사회적 요구에 대한 능동적 대처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시민(고객)들의 기업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계속 증대하고 있는 만큼 기업은 이러한 기대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이런 활동은 기업이 사회환경 개선에 참여함으로써 시민들의 보다 나은 생활의 질을 가져올 수 있으며 나아진 사회환경은 결과적으로 기업활동에 도움이 된다. 이런 상호 윈윈(win-win) 전략으로 인해 사회는 기업으로부터 보다 나은 환경과 고용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노동력을 제공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소비하는 지역사회가 개선됨으로써 기업의 경영활동은 도움을 얻게 되는 것이다. 정부규제와 개입의 축소도 기업 사회공헌 활동으로 얻는 큰 혜택이다. 사회에서 사회공헌 활동 우수 기업으로 인정받게 되면 정부는 추가적인 규제나 개입을 줄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 결과 기업은 기업경영 활동에서 보다 유연성을 가질 수 있고 도전적인 경영활동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끝으로 사회공헌 활동으로 인한 좋은 기업 이미지는 내부 조직원들의 로열티를 높이고 이를 통한 노동의 질 향상으로 생산성을 높여 이윤 극대화로 연결될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