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신용불량자 400만명 육박

4월말 체납자·채무불이행자 포함 전월比 1.4% 늘어

신용불량자 400만명 육박 4월말 체납자·채무불이행자 포함 전월比 1.4% 늘어 • 은행 잠재 신불자도 채무재조정 개인 신용불량자 수가 세급체납자와 법원 채무불이행자까지 포함해 400만명에 육박하며 사상최대를 기록했다. 27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현재 개인 신용불량자는 국세ㆍ관세ㆍ지방세 체납자 및 법원 채무불이행자를 포함해 모두 397만3,541명으로 전달의 391만8,507명보다 5만5,034명(1.4%) 늘어났다. 그러나 이는 각 금융권의 신불자 회생 프로그램 시행 등으로 3월 증가율인 2.4%보다 1%포인트 떨어진 것이다. 연합회는 그러나 세금체납자와 법원 채무불이행자를 제외한 금융권의 순수 개인 신용불량자는 4월 말 현재 382만5,188명으로 전달보다 1.5%(5만6,871명) 늘었다고 밝혔다. 업권별 신용불량자 증가율은 자산관리공사와 근로복지공단 등 공공기관이 자산관리공사의 카드사 부실채권 매입으로 21.05%에 달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보증재단(4.38%), 산림조합중앙회(4.06%), 농수협 회원조합(3.38%) 등의 순이었다. 반면 정보통신부(-2.47%)와 창업투자사(-0.79%), 종합금융사(-0.51%) 등은 감소했다. 연령별 증가율은 그동안 감소추세를 보이던 10대가 2.61%(82명)로 가장 높았고 40대 이상 2.05%(3만7,989명), 30대 1.59%(1만8,692명), 20대 0.01%(108명) 등으로 뒤를 이었다. 성별 증가율은 10대 남성이 3.31%로 가장 높았고 이어 40대 이상 여성 2.37%, 30대 여성 2.10% 등의 순이었으며 20대 남성은 유일하게 0.39%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연합회의 한 관계자는 “10대의 증가율이 높아진 것은 휴대전화 요금 체납 등으로 보증보험사의 신용불량자 등록이 늘어났기 때문”이라며 “숫자로만 보면 30~40대가 증가인원의 대부분을 차지했다”고 말했다. 한편 4월 말의 세금체납자와 법원 채무불이행자는 14만8,353명으로 전달의 15만190명보다 1.2%(1,837명) 줄어들었다. 조의준기자 joyjune@sed.co.kr 입력시간 : 2004-05-27 17:4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