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주엽 한국노동연구원 상임연구위원은 11일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가 개최한 '세대 간 상생을 위한 일자리 토론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안 위원은 "지난 28년간의 고령자와 청년층 고용률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각 세대의 고용률 변화의 주된 요인은 경제상황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며 "경제가 성장하면 청년층과 고령층 고용이 함께 늘고 침체하면 두 세대 모두 고용이 준다"고 밝혔다. 이어 "기업 입장에서는 인력 운용에 있어 청년층과 장년층의 최적의 배합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두 세대의 고용은 대체관계가 아닌 보완관계로 나타난다"고 전했다.
이수영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연력심의관도 "청년층은 금융·보험, 영상·방송통신, 중·고령자층은 농림·제조·건설 등 업종별 선호도가 다르기 때문에 세대 간 일자리 대체관계는 거의 없다는 게 국내외 연구 결과의 대체적인 결론"이라고 설명했다. 어수봉 한국기술교육대 교수는 "정년이 연장돼도 노동시장 전체의 고용 규모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나 기업의 추가 비용 발생으로 단기적으로 신규채용 수요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며 "정년 연장의 혜택을 받는 노동계가 연공형 임금체계를 개선하는 데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김대환 노사정위원장은 "노사정위원회는 임금·근로시간특별위원회를 가능한 한 빨리 열어 임금체계 개선을 포함한 세대 간 상생의 일자리 생태계를 위한 합의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