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10년간 강남권 4구 재건축 완공 단지 소형주택 비율 5분의1로 급감


최근 10년간 서울 강남·서초·송파·강동 등 강남권 4개구의 재건축 완공 단지 물량 중 전용 60㎡이하 소형주택 비중이 5분의1수준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국토교통부가 관련법 시행령을 개정해 재건축 소형주택 의무비율을 폐지한 만큼 향후 서울 지역에서 소형주택이 더 줄어들 수 있다는 지적이다.


2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상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04년 이후 10년간 강남4구에서 재건축을 마친 38개 아파트 단지 총 6만2,098가구 중 소형 비중은 기존 82.4%에서 16.8%로 크게 감소했다. 재건축 시행 이전 소형 물량은 총 3만8,959가구였지만 공사가 끝난 후에는 9,526가구로 줄었다. 송파구가 99.3%에서 20.2%로 줄었고 강동구는 88%에서 21%로, 강남구는 70.4%에서 25.8%로 줄었다. 특히 서초구는 재건축 전 소형 물량이 전체 72%였지만 공사 이후에는 단 한 가구도 남지 않았다.

관련기사



이처럼 재건축에 따른 소형주택 비중 급감은 대상 단지가 대부분 소형으로 구성된 노후 저층 아파트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대부분 1980년대 초 이전에 지어진 단지들로 대지지분율이 높아 기존 주택 보유자들이 중대형 아파트를 배정받더라도 추가비용 부담이 없거나 많지 않았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소형주택 수요가 많은 1~2인 가구가 서울시 전체 절반에 가까워 강북과 강남 간 주택 양극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