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전당대회 후 백의종군을 선언한 한나라당 최병렬 대표는 이날 아침까지도 거취를 결정하지 못한 채 주저했다는 후문이다.최 대표는 “소장파와 얘기를 더 해봐야 하는 것 아니냐. 사회 원로들은 어떻게 생각할 지 궁금하다”며 며칠 더 결정을 미룰 듯한 자세였다는 것이다.
때문에 당내의 `선사퇴 후수습`요구에 `선수습 후사퇴`쪽으로 맞받은 이날 발표 속에 또 다른 자락이 깔려있는 것 아닌가라는 해석도 나왔다. “공천이 완료된 후 전당대회를 열겠다” 거나 “더 이상의 양보는 없다”는 식의 최 대표의 언명이 예사롭지 않다는 것이다.
물론 이 같은 해석에 대해 측근들은 “더 이상의 해석이 필요 없는 백의종군 선언”이라며 손사래를 친다. “공천이 결정된 직후 전당대회를 열겠다”는 것은 “전당대회를 공천자대회와 겸해 재창당을 선언하는 축제의 장으로 만들겠다는 의도가 담긴 것 뿐”이라는 것이다.
또 다른 측근은 “원내외 위원장들을 전부 카운트 해봤지만 모두 70명이 안되더라”며 “대표직 권한에 기대 옥쇄(玉碎)도 생각해봤지만 그렇게 되면 당이 박살 난다고 생각해 깨끗이 손을 든 것”이라고 말했다. `꼼수`는 있을 수 없다는 뜻이다.
최 대표는 이번 내홍의 본질을 처음부터 끝까지 당권 경쟁으로 본 듯하다. 지난해6월 23만 당원에 의해 대표로 선출됐지만 그는 세력 없는 소수였다.
하지만 서서히 당을 장악해가는 과정에서 당내 지분을 가진 제세력과의 갈등이 불거졌고, 결정적으로 `공천`을 전후해 코너로 내몰렸다는 게 최 대표측의 상황 인식이다.
그래서 4일간의 잠행은 당내 제세력과의 마지막 타협의 시간이었던 것 같다. 그렇지만 결론은 실패였다. 그런 의미에서 이날의 선언은 `완전한 항복선언`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여전히 찜찜한 표정이다. 그가 자신의 손으로 `개혁공천`을 마무리 짓겠다는 것은 총선이후 그의 권토중래를 위한 발판을 깔았거나 소장파들이 당권을 장악할 가능성을 원천봉쇄하자는 대책으로 보기도 한다.
다음은 일문일답.
_전당대회 때까지는 대표직 유지하겠다는 것인가 아니면 과도 체제를 말하나.
“말한 것 외 이외 부연 설명할 내용 없다. 최근 벌어지는 일에 대한 해결책으로 얘기하는 것 아니다. 어떻게 하면 국민들의 지지를 다시 모아 책임지는 보수 정당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인가에 대한 내 나름의 관심을 모아 내린 결론이다.”
_대표 권한으로 조기 전대 소집을 각 정파들이 지지할지 미지수다.
“이것은 23만 당원이 선출한 당 대표가 총선 목전에 두고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제시한 방법이지 당내 요구에 의해 제시하는 것 아니다. 더 이상 타협과 양보 있을 수 없는 당 대표로서의 확고한 마지막 원칙이다.”
_전당대회의 구체적 시기는?
“곧바로 전대 소집 준비 시작할 것이다. 전대는 공천자들이 다 결정돼서 함께 참여하는 소위 뉴 한나라당 만드는 계기가 돼야 하므로 공천 완료된 이후에 하는 것이 순서다.”
<이동훈 기자 dhlee@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