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맞춤형 교육, 신도림高의 힘

올 첫시행 고교선택제<br>경쟁률 17대 1 기록<br>강남학군 제치고 1위

SetSectionName(); 맞춤형 교육, 신도림高의 힘 올 첫시행 고교선택제경쟁률 17대 1 기록강남학군 제치고 1위 송주희기자 ssong@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올해 서울 고교 입시에서 처음 실시된 고교선택제 결과 강남 등 인기지역 고교를 제치고 구로구에 있는 신도림고가 경쟁률 1위(17대1)를 기록해 눈길을 끌고 있다. 그러나 이 학교를 제외하고는 강남과 북부 지역 등 특정 지역 학교에 대한 쏠림 현상이 여전히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학군 학교들은 대부분 10대 1의 경쟁률이 넘었으며 중부학군은 지원자가 정원에 미달된 학교 총 7곳 중 절반이상이 집중돼 있다. 15일 서울시교육청이 고교선택제를 적용 받은 2010학년도 후기 일반계고(자율형공립고 포함) 지원자 8만9,686명(체육특기자 및 정원 외는 제외)의 1, 2단계 지원 경향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 전역을 단일 학교군으로 해 학교별 모집 정원의 20%(중부는 60%)를 추첨 배정하는 1단계의 평균 경쟁률은 4.3대 1로 나타났다. 학군별 경쟁률은 강남군(강남ㆍ서초구)이 6.2대 1로 가장 높았으며 북부군(노원ㆍ도봉구) 5.5대 1, 강서군(강서ㆍ양천구) 5.4대 1 등이 뒤를 이었다. 1단계에서는 전체 지원자의 14.9%(1만3,352명)가 거주지 학교군이 아닌 타 학교군에 지원해 7명 중 1명은 거주지가 아니더라도 선호하는 학교를 찾아 타 학교군의 학교로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 학교군 거주 지원자의 지원율이 높은 학교군은 중부군(종로ㆍ중구ㆍ용산구)으로 4.9%를 기록했으며, 강남군(강남ㆍ서초구) 4%, 북부군(노원ㆍ도봉구) 1.9%, 동작군(관악ㆍ동작구) 1.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부군의 경우 1단계 모집 정원이 타 학군에 비해 많은 점 등을 고려할 때 강남이나 북부 등 전통적인 '교육특구'에 대한 쏠림 현상은 여전히 뚜렷하다는 분석이다. 다만 2007년 말과 2009년 4월 실시한 1ㆍ2차 모의배정 1단계 선택 집중도가 각각 18%, 11%였던 점을 고려할 때 강남 학군에 대한 쏠림 현상이 많이 완화됐다는 게 시교육청의 설명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실제 지원에서 학생이나 학부모가 통학 편의나 학교 시설 등을 다양하게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2단계(거주지가 속한 일반 학교군에서 통학 편의 등을 고려해 학교별 모집 정원의 40%를 추첨 배정)는 평균 2.5대 1의 경쟁률을 보였고, 지원자의 14.3%(1만2,800명)는 같은 학군 내의 다른 자치구에 소재한 학교로 지원했다. 학교별 지원율 편차도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1, 2단계에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학교는 구로구의 신도림고로 경쟁률이 1단계 17.1대 1, 2단계 11.1대 1에 달했다. 하지만 1, 2단계 모두 지원자가 정원에 미달한 학교도 7곳이나 됐으며 이 중 최하위는 경쟁률이 0.4대 1에 그쳤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