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현대차 노조 파업 수순?

쟁의대책위 결성·임단협 조정 신청 제출키로

현대자동차 노조가 쟁의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임금 및 단체협상 조정신청을 제출하기로 해 파업으로 가는 수순이 아니냐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달 임단협 교섭 결렬을 선언한 데 이어 9일 임시 대의원대회를 열고 쟁의발생을 결의한 뒤 쟁의대책위원회를 만들기로 했다. 노조는 10일에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을 제출할 방침이며 10일간의 조정기간 내에 사측으로부터 원하는 잠정합의안을 얻어내지 못할 경우 파업찬반투표를 거쳐 파업 실시 여부도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노사 간 교섭 일정이 잡히지 않았으며 조정신청 이후인 오는 11일부터 교섭을 재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울산 지역 노동계에서는 현대차 노조가 22일부터 파업이라는 실력행사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대차 노사 교섭의 가장 큰 걸림돌은 노조 전임자 임금 지급을 제한한 유급근로시간면제제도(타임오프제)다. 타임오프제 적용으로 현대차 노조는 노조전임자를 현재 240여명에서 24명으로 줄여야 한다. 사측은 법규에 따라 유급전임자 26명, 무급전임자 104명의 타임오프 적용안을 제안했으나 노조는 법으로 전임자 수를 옭아매는 타임오프제 자체를 거부, 양측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 외에도 장기근속 자녀 우선채용, 정년 연장 등 일부 핵심사안을 둘러싼 견해차가 커 협상 장기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파업 가능성도 우려되는 만큼 지역 노동계와 경제계는 잔뜩 긴장하고 있다. 2년 동안 이뤄진 현대차 무분규 타결이 깨지고 파업이 이뤄질 경우 미치는 지역경제의 악영향이 막대하기 때문이다. 울산지역의 한 경제계 인사는 "타임오프제는 사측과 협상할 것이 아니라 정부와 해야 할 것"이며 "(타임오프제로) 교섭이 여의치 않자 (노조가) 파업으로 밀어붙이는 것은 이기주의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다른 인사는 "현대차의 파업이 지역경제는 물론이고 국가 경제에도 큰 영향을 끼치는 만큼 극단적인 선택을 비켜나가기 위한 현명한 판단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