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차라리 청산해 돈 챙기자" 확산

[외국인 자본회수 봇물터졌나] 기업가치 저평가 종목 소출따라 "脫증시'<BR>자회사와 시너지효과 노린 통합 작업도…상장폐지 잇따를땐 산업 공동화 악영향

"차라리 청산해 돈 챙기자" 확산 [외국인 자본회수 봇물터졌나] 기업가치 저평가 종목 속출따라 "脫증시'자회사와 시너지효과 노린 통합 작업도…상장폐지 잇따를땐 산업 공동화 악영향 외국인이 경영권을 장악한 상장ㆍ등록기업들이 최근 주식시장에서 잇달아 빠져나가고 있다. 지난 16일 프랑스 케이블 그룹인 넥상스가 유통 주식 전량을 공개 매수하겠다고 밝힌 극동전선과 넥상스코리아는 당장 22일부터 일반 주주 공개매수를 시작하는 등 상장폐지를 위한 수순 밟기에 들어간다. 씨티은행이 지분 97.5%를 확보, 거래소 주식분포요건 미달로 인해 사실상 상장 폐지가 불가피한 한미은행은 내달 9일 주주총회에서 상장 폐지안이 통과될 경우, 국내 증시 전광판에서 이름표가 사라질 운명이다.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의도적 상장 폐지’ 움직임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서울경제신문은 3회에 걸쳐 외국인 대주주들이 주도하고 있는 상장폐지 봇물 사태의 이유와 행태를 진단해 본다. 이를 통해 서울증시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도 아울러 짚어본다. 최근 외국인 대주주들이 주도적으로 알짜기업들의 상장폐지를 강행하는 것은 한마디로 ‘(상장을 유지시킬) 매력을 찾지 못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상장 폐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메리트가 훨씬 많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현재 드러나고 있는 의도적인 상장폐지는 크게 ▦짭짤한 배당수익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점 ▦소액주주들의 경영 감시에서 벗어나 탄력적인 경영정책을 펼치기 쉽다는 점 ▦기업 청산을 통해 투자자금을 단기에 회수할 수 있다는 목적 등등이 한꺼번에 표출된 모습이다. 증권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주식시장의 존립 목적인 기업 경영능력과 외부자본의 바람직한 결합이 근본적으로 흔들리는 양상”이라고 말했다. ◇잇따른 상장 폐지 무엇을 노리나=현재 국내 증시는 상장사 5곳 가운데 4개의 시가총액이 순자산가치에도 못 미칠 정도로 싸다. 해외 대주주 입자에서 보면 지분 매수 뒤 상장 폐지할 경우 일반 주주들의 입김에 휘둘리지 않고 쉽게 청산 작업에 쉽게 나설 수 있다. 이른바 ‘돈잔치’로 불리우는 청산작업이 끝나면 쏠쏠한 현금을 챙길 수 있다. 글로벌 경영 전략 차원에서 국내 기업을 인수한 경우 자회사와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단일화 작업에 나서기도 한다. 이제 까지 외국계 대주주들의 상장 폐지는 시장 확대나 기술 확보 등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 많았다. 넥상스코리아와 극동전선 상장폐지 의사를 밝힌 프랑스계 전선그룹 넥상스도 세계 경영 전략 차원으로 해석된다. ◇해외 대주주 국내 증시 이탈 도미노 현상 우려=해외 대주주의 상장 폐지 움직임을 놓고 시장에서는 논란이 확대되고 있다. 정의석 굿모닝신한증권 투자분석부장은 “부가가치를 만들 수 있는 기업을 당장 눈앞의 단기 투자 차익만을 노려 청산해버리면 국내 산업 공동화는 물론 국가 기업 경쟁력 저하로까지 연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특히 국내 증시의 주가자산비율이 다른 신흥시장에 비해 크게 낮을 정도로 저평가됐다는 점에 비춰 해외 대주주의 탈 증시 도미노 현상도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반면 해외 대주주의 자발적인 상장 폐지는 국내 자본 시장의 흐름이 그만큼 자유스럽다는 반증이라는 의견도 있다. 임태섭 골드만삭스증권 전무는 “자금의 효율성을 노리는 해외 투자자의 경우 국내 자본 시장의 유연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투자 의욕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국민 정서를 빌미로 투기 자본이라는 딱지를 붙이는 것은 자본의 자유로운 흐름을 막는 폐해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박상용 한국증권연구원 원장은 이와 관련, “외국인 대주翎?의한 상장폐지가 잇따를 경우 가뜩이나 침체된 국내 주식시장 규모가 축소되는 한편 한국 경제 전반에 위축 현상을 가져올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더구나 상장폐지를 반대하는 소액투자자들의 반발도 빈번해지고 있어, 투자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해 상장폐지 관련 규정을 재점검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홍병문기자 hbm@sed.co.kr 이철균 기자 fusioncj@sed.co.kr 입력시간 : 2004-06-21 17:2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