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쿠바 몰수 예술품 밀수출 외화벌이 수단 사용 의혹

쿠바 정부가 1959년 혁명 이후 자산가들로부터 몰수했던 예술품을 밀수출해 외화 벌이의 수단으로 삼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혁명 이전 쿠바 최대의 설탕회사를 가지고 있었던 호세 판훌과 그 가족들은 선조때부터 수집해 왔던 미술품들이 세계 경매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며 이는 미국의 쿠바 경제제재 조치를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미국 국무부와 재무부는 이 같은 주장의 사실 여부를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판훌가(家) 소유의 미술품들은 세계적 미술품 경매회사인 소더비를 통해 매매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것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매매 당사자와 브로커들은 처벌이 불가피하다. 한 미술품 경매 전문가는 “쿠바 정부는 판훌가의 미술품을 시장을 테스트하기 위한 수단으로 삼았던 것으로 보인다”며 “만일 아무런 문제 없이 미술품을 팔아넘길 수 있다면 본격적으로 미술품 밀수출을 통한 외화벌이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