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삼성硏, “외환시장 거래규모 확대 필요”

외환시장의 불안정성을 완화하기 위해 국내 외환시장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3일 정대선 삼성경제연구소는 선임연구원은 ‘한국 외환시장과 주식시장의 불안전성 비교’ 보고서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규모 대비 외환거래 규모가 큰 국가일수록 외환시장 충격을 덜 받았다”면서 “반면 한국은 GDP 대비 외환거래 규모가 작은 그룹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외환시장 변동성이 크게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정 선임연구원은 이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 “상대적으로 작은 외환시장 규모를 경제 규모에 합당한 수준으로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증권사와 보험사, 개인 등 다양한 주체의 외환시장 참여를 유도해 외환시장 거래 규모 확대는 물론이고 원∙달러 거래 중심인 외환시장을 원화결제 확대 등 원화의 국제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 외환시장이 주식시장에 비해 외부충격에 극히 취약하다고 적시했다. 정 선임연구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외환시장과 주식시장의 변동성과 관련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해 우리의 주식시장 주가지수 변동성이 세계 주요 51개에 중간수준인 30위를 기록했다”면서 “하지만 외환시장은 원∙달러 통화가치 최대 절하율이 41.8%로 세계 주요 38개국 통화의 평균 최대 저하율 19.6%를 크게 상회할 만큼 변동성이 컸다”고 말했다. 그는 외환시장이 주식시장 보다 변동성이 큰 이유에 대해 “외화 차입자금이 외국인 주식투자자금 보다 더 많이 이탈하기 때문”이라면서 언급했다. 정 선임연구원은 따라서 “자금 유출이라도 외국인의 주식투자자금 보다 은행부문의 단기외채 증감이 환율변동성이 더 큰 만큼 외환시장에 불안을 조장하는 단기외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