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남북정상회담] 美와 사전조율 과정 거친듯

中등에 앞서 가장 먼저 통보

‘제2차 남북정상회담’이 미국과의 사전조율을 거쳤을까. 8일 외신 및 정부 소식통 등에 따르면 남북정상회담 개최와 관련, 정부는 중국 등 한반도 주변국들에 앞서 가장 먼저 미국에 사전 통보, 회담 개최를 위한 조율과정을 거친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관련국들에 적절한 시점에 알아야 할 내용을 통보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외교부의 한 관계자는 “송민순 장관이 지난 2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 존 네그로폰테 미 국무부 부장관에게 정상회담 관련 내용을 설명했다”고 전했다. 송 장관은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에게도 적절한 방식으로 정상회담과 관련된 내용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도 “한국 정부가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관한 내용을 사전에 미국 측에 통보했다”고 이 같은 사실을 뒷받침했다. 미국은 북한ㆍ중국과 함께 1953년 맺은 ‘남북한 휴전협정’의 당사자이자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의 대표국가로서 지금까지 남북관계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최근 한반도 비핵화와 함께 휴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가 논의되고 있기 때문에 미국과의 사전조율 또는 동의를 통해 회담 성사가 이뤄졌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미국 측은 그동안 외교적 파장을 우려, 남북정상회담 개최 문제에 대해 말을 아껴왔다. 다만 북한 핵의 완전 폐기에 앞서 남북 또는 남북ㆍ미ㆍ중 4자 간 정상회담이 열릴 경우 북한과 국제사회에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는 만큼 정상회담은 6자회담 참가국들과의 사전조율을 거쳐 열려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