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이란 前 핵협상대표, 現 강경 지도부 비판

前 이란 국가안보최고회의 의장 "값비싼 대가 치러야 할 판"

모하마드 하타미 대통령 시절 이란 핵 협상대표를 지낸 하산 로하니 전 국가안보최고회의(SNSC) 의장이 핵 문제를 강경일변도로 풀어나가려는 마흐무드 아흐마디네자드 정부를 비판하고 나섰다. 로하니는 20일 이란 학생통신인 ISNA와의 회견에서 지난해 6월 아흐마디네자드가 대통령에 당선되기 전에는 핵 문제와 관련한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유럽연합 3개국과의 협상이 서로 양해하는 수준까지 갔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불행하게도 새 정부 출범 이후 핵 정책과 전술이 모두 바뀌었다"며 "우리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뒀다고 해도 값비싼 대가를 치러야 할 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핵 문제와 관련한 결정을 내릴 때 더 균형잡힌 입장을 취하면서 감정보다는 이성적 관점에서 접근할 시기가 됐다며 "대외 협상시 너무 낙관해서도 안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지나치게 비관해 건설적인 협상기회까지 봉쇄해선 안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란 정부는 1979년의 이슬람 혁명과 그 후의 테헤란 주재 미 대사관점거농성 사건에 따른 후유증을 미국과의 대화를 통해 해소할 수도 있었지만 감정적으로 대응하다가 실기한 전례가 있다며 미국과 대화를 거부하는 현 지도부의 태도를비판했다. 그는 이란 공무원 사회에 깊게 박힌 서방권에 대한 불신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로하니의 이런 발언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오는 28일까지 우라늄 농축 활동을 중단하라고 촉구하는 의장성명을 발표한 뒤 이란 정부가 이를 무시하고 핵 프로그램 고수의사를 밝혀 양측 간에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나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개혁파로 분류되는 하타미 대통령 정부에서 실용적인 협상가로 알려졌던 로하니가 이번 발언을 통해 핵 문제에서 강경 일변도 정책을 견지하는 아흐마디네자드 정부에 유연한 태도를 보이라고 주문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